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지리지40

신당서(新唐書) 기미주(羈縻州) 하북도(河北道) 전문 번역 돌궐(突厥) 주(州) 2 순주(順州) 순의군(順義郡). 정관(貞觀) 4년에 돌궐을 평정하고 그 부락으로 순주(順州)와 우주(佑州)와 화주(化州)와 장주(長州) 등 4개 주를 설치하고 도독부(都督府)를 유주(幽)와 령주(靈)의 지경에 두었다. 또한 북개주(北開州)와 북녕주(北寧州)와 북무주(北撫州)와 북안주(北安州) 등 4개 주를 설치하고 도독부(都督府)를 두었다. 6년에 순주(順州)를 영주(營州)의 남쪽에 있는 오류수(五柳戍)에서 교치하였고 또한 사농부(思農部)를 나누어 연연현(燕然縣)을 설치하여 양곡(陽曲)에서 교치하였다. 사결부(思結部)를 나누어 회화현(懐化縣)을 설치하고 수용(秀容)에서 교치하고 순주(順州)에 예속시켰다. 후에 모두 없앴다. 우주(祐州)와 화주(化州)와 장주(長州)와 북개주(北開州).. 2009. 11. 22.
후한서 군국지의 유주(幽州)의 탁군, 광양, 대군, 상곡, 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 낙랑, 현도 등 우리역사 관련지명 번역 1.유주(幽州) ①탁군(涿郡) 涿郡, 髙帝置. 雒陽東北千八百里. 七城, 户十萬二千二百一十八, 口六十三萬三千七百五十四. 涿, 逎 侯國,[1] 故安 易水出, 雹水出.[1] 范陽 侯國. 良鄉. 北新城 有汾水門.[3] 方城 故屬廣陽, 有臨鄉,[4] 有督亭.[5] 탁군(涿郡), 고제(髙帝)가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1800리에 있다. 성(城)이 7개이고 가구수는 10,2218이며 인구수는 63,3754명이다. 1)탁현(涿縣), 2)주국(逎國). 후국(侯國)이다.[1] 3)고안현(故安縣) 역수(易水)가 나오며 박수(雹水)가 나온다.[2] 4)범양국(范陽國). 후국(侯國)이다. 5)량향현(良鄉縣). 6)북신성현(北新城縣). 분수문(汾水門)이 있다.[3] 7)방성현(方城縣) 옛 광양국(廣陽國)에 속했는.. 2009. 11. 21.
위서지형지의 유주, 안주, 남영주, 동연주, 영주, 평주 등 우리역사 관련지명 번역 1. 유주(幽州) 유주는 계성(薊城)에서 다스린다. 관할하는 군은 3개이고 관할하는 현은 18개이다. 가구는 3,9580이고 인굿수는 14,0536명이다. 幽州, 治薊城. 領郡三, 縣十八. 户三萬九千五百八十, 口一十四萬五百三十六. ① 연군(燕郡) 옛날의 연국(燕國)이다. 한국(漢國)의 고제(高帝)가 연국(燕國)으로 삼았고 소제(昭帝)는 광양군(廣陽郡)으로 고쳤고, 선제(宣帝) 속국(國, 혹은 연국?)으로 고쳤다. 후한국(後漢)의 광무(光武)는 상곡군(上谷)에 병합했으며, 화제(和帝) 영원(永元) 6년에 다시 광양군(廣陽郡)으로 하였다. 진국(晉)에서는 속국(國, 연국)으로 고쳤고 뒤에 다시 고쳤다. 다스리는 현은 5개이고 가구수는 5748이며 인구수는 2,2519명이다. 1) 계현(薊縣), 전한과 후한때.. 2009. 11. 19.
수서지리지의 기주. 탁군, 상곡군, 여양군, 북평군, 안락군, 요서군 등 우리역사 관련지명 번역 1. 기주(冀州) ① 탁군(涿郡) 옛날에 유주(幽州)에 설치하였었다. 후제(後齊, 즉 북제北齊)에서 동북도행대(東北道行臺)를 설치하였으며, 후주(後周)가 북제(北齊)를 평정하여 총관부(總管府)로 고쳐 설치하였고, 대업(大業, 605-617) 초에 부를 폐하였다. 다스리는 현은 9개이고 가구수는 8,4059이다. 1) 계현(薊縣). 옛날에는 연군(燕郡)에 설치하였었는데 개황(開皇, 581-600) 초에 폐하고 대업(大業) 초에 탁군(涿郡)에 설치하였다. 2) 량향현(良鄉縣). 3) 안차현(安次縣). 4) 탁현(涿縣). 옛날에는 범양군(范陽郡)에 설치하였었는데, 개황(開皇) 초에 폐하였다. 5) 고안현(固安縣). 옛날에는 고안현(故安縣)이라 하였고, 개황(開皇) 6년에 고쳤다. 6) 옹노현(雍奴縣). 7) .. 2009.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