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疑樂浪朝鮮取名於此也의 번역 再考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20.
사마천이 지은 사기의 조선열전 중에 번역을 재고해야 할 구절이 있다.

樂浪朝鮮取名於此也

여기에 나오는 "
樂浪朝鮮"...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어떤이들은 "
樂浪과 朝鮮이라는 명칭은 이 강들의 이름에서 따온것 같다’고 하였다."라고 번역한다.

또 어떤이는 이를 번역하기를
"
혹 낙랑조선은 이 강들에서 이름을 딴 것이다"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그러나 문맥을 잘 살펴보면 위 두개의 번역은 모두 틀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우선 사기조선열전 집해를 보자.

集解、張晏曰、朝鮮有濕水、洌水、汕水、三水合為洌水。
"집해에서 장안이 말하기를 조선(朝鮮)에는 습수(濕水), 렬수(洌水), 산수(汕水)가 있는데 이 세 강이 합하여져서 렬수(洌水)가 된다."라고 한 다음에 疑樂浪朝鮮取名於此也라는 구절이 나온다.

疑樂浪朝鮮取名於此也의 구절은 앞의 문장 즉 "습수 렬수 산수가 합하여 렬수가 된다"는 기록을 근거로 하여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가? 절구는 아래와 같이 하여야 하며...

疑, 樂浪, 朝鮮取名, 於此也.
번역은 다음과 같다.
"혹 樂浪이라는 국가가 朝鮮이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이들 강에서인것 같다"

즉, 위만이 본거지로 삼았던 낙랑군의 이름을 따서 위만이 세운 국가는 "낙랑국"이었는데, 그 낙랑국에 습수 렬수 산수가 있어서 "낙랑국"은 또한 "조선국"이라고도 불리운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번역해야 하는 구절이 수경주에도 나온다.

其水南入五渡塘, 于其川也, 流紆曲溯, 涉者頻濟, 故川塘取名矣.
그 강은 남쪽으로 五渡塘(오도당, 즉 오도연못)으로 들어간다. 그 하천을 향해 가는데, 물줄기가 구부러지고 얽히고 역류하여 강을 건너는자가 자주 도움을 얻기에(濟, 즉 그곳에서 물을 얻기에) 따라서 하천이(川) 연못이라는(塘) 이름을 얻은 것이다.

하천이 왜 연못이라는 이름을 얻었나에 대한 설명이다.
故川塘取名矣의 문장은 樂浪朝鮮取名於此也의 於此만 빠지면 똑같은 문장구조이다.

만약 樂浪朝鮮取名於此也을 기존처럼 번역하는 방법을 따라, 樂浪朝鮮을 이 문장의 전체 주어로 생각하여 故川塘取名矣를 번역한다면 이상한 번역이 되고 만다.

樂浪朝鮮을 주어로 생각하여 번역하듯이 故川塘取名矣을 번역하면 "따라서 하천과 연못이 이름을 얻었다"라고 번역되어지는데 무슨 뜻인지 알수가 없다.

疑樂浪朝鮮取名於此也
"혹 낙랑이 조선이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이들 강에서 따온 것 같다"


이렇게 번역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