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지리지40

우리역사 관련 중국사서 - 6: 위서 지형지 안주 (安州) 안주(安州)안주(安州), 황흥(皇興) 2년에 설치하였고 방성(方城)에서 다스린다. 천평(天平) 년간에 함락되었고 원상(元象) 년간에 유주(幽州) 북쪽 경계에서 붙여 다스렸다. 다스리는 군은 3개이고 현은 8개이다. 가구수는 5405이고 인구수는 2,3149명이다. 安州, 皇興二年置, 治方城. 天平中陷, 元象中寄治幽州北界. 領郡三, 縣八. 户五千四百五, 口二萬三千一百四十九. 밀운군밀운군(密雲郡), 황시(皇始) 2년에 설치하였다. 제휴성(提㩗城)에서 다스린다. 다스리는 현은 3개이고 가구수는 2231이며 인구수는 9011명이다. 1) 밀운현(密雲縣), 진군(真君) 9년에 방성(方城)을 병합하여 속하였다. 2) 요양현(要陽縣), 전한(前漢)에서는 어양(漁陽)에 속했고, 후한(後漢)과 진(晉)에서는 파하였으나 .. 2009. 11. 29.
수경주(水經注) 다시 읽기 두번째: 고하, 습여수, 포구수, 유수, [수경] 고하(沽河)는 새(塞) 밖으로부터 온다.[1] 沽河從塞外來 [주] 고하(沽河)[2]는 어이진(禦夷鎮) 서북쪽 90리 단화령(丹花嶺) 아래에서 나온다.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대곡수(大谷水)가 고하(沽河)로 들어간다. 대곡수(水)는 어이진(鎮) 북쪽의 대곡계(大谷溪)에서 발생(發)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독석(獨石) 북쪽 경계를 지난다. 독석은 홀로 생겨난 것인데, 언덕으로 말미암지 않고 스스로 우뚝 서있다. 또한 (대곡수는) 남쪽으로 흐르다가 구원수가 대곡수로 들어간다(又南九源水注之). 구원수는 북천(北川)에서 인도된 것인데 좌우의 날개 8개의 물줄기들이 합하여 하나의 물을 이루므로 구원(九源)이라 한 것이다. 구원수(其水)는 남으로 흘러 독석(獨石)에 이르러 대곡수(大谷水)로 들어간다. 또한 대곡수는.. 2009. 11. 28.
수경주 권14 번역: 습여수, 고하, 포구수, 유수, 대요수, 소요수, 패수 수경주(水經注) 권 14 습여수(濕餘水) [수경] 濕餘水出上谷居庸闗東 습여수(濕餘水)는 상곡군(上谷郡) 거용관(居庸闗) 동쪽에서 나온다. [주] 闗在沮陽城東南六十里居庸界, 故闗名矣. 更始使者入上谷, 耿况迎之于居庸闗, 即是闗也. 其水導源闗山, 南流歴故闗下, 溪之東岸, 有石室三層, 其户牖扇扉悉石也, 盖故闗之候臺矣. 南則絶谷, 累石為闗垣, 崇墉峻壁, 非輕功可舉. 山岫層深, 側道褊狹, 林鄣邃險, 路才容軌. 曉禽暮獸, 寒鳴相和, 羇官逰子, 聆之者莫不傷思矣. 其水厯山南, 逕軍都縣界, 又謂之軍都闗. 續漢書曰, 尚書盧植隠上谷軍都山, 是也. 其水南流出闗, 謂之下口, 水流潜伏十許里也. 거용관은 저양성(沮陽城) 동남쪽 60리의 거용현(居庸縣) 경계에 있는데 옛날 관(闗)의 이름이다. 후한(後漢)의 경시제(更始帝)의 사자(使.. 2009. 11. 28.
수경주 다시읽기 습여수 [수경] 습여수(濕餘水)는 상곡군(上谷郡) 거용관(居庸闗) 동쪽에서 나온다. 濕餘水出上谷居庸闗東 [주] 闗在沮陽城東南六十里居庸界, 故闗名矣. 更始使者入上谷, 耿况迎之于居庸闗, 即是闗也. 其水導源闗山, 南流歴故闗下, 溪之東岸, 有石室三層, 其户牖扇扉悉石也, 盖故闗之候臺矣. 南則絶谷, 累石為闗垣, 崇墉峻壁, 非輕功可舉. 山岫層深, 側道褊狹, 林鄣邃險, 路才容軌. 曉禽暮獸, 寒鳴相和, 羇官逰子, 聆之者莫不傷思矣. 其水厯山南, 逕軍都縣界, 又謂之軍都闗. 續漢書曰, 尚書盧植隠上谷軍都山, 是也. 其水南流出闗, 謂之下口, 水流潜伏十許里也. 거용관은 저양성(沮陽城) 동남쪽 60리의 거용현(居庸縣) 경계에 있는데 옛날 관(闗)의 이름이다. 후한(後漢)의 경시제(更始帝)의 사자(使者)가 상곡에 들어갔는데 경황(耿况)이 그.. 2009.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