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독부5

것대와 거서간 청주시 산성동에는 것대산이 있는데 거질대산이라고 하기도 하고 상령산이라고 하기도 한다. 옛 문헌에 居次大山(거차대산) 또는 居叱大山(거질대산)이라고 썼으니 이는 모두 "것대산"이라고 읽어야 한다. 즉, 次와 叱은 사이시옷이다. 그런데 이 산을 上嶺山(상령산)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것대산"을 한자로 번역한 것이다. 즉, "것"은 우리말 고어로 上의 뜻이고 "대"는 곧 "달"이라고도 하는 우리말이니 嶺의 뜻이 된다. 그래서 "것대산"을 居次大山 또는 居叱大山로 음차표기하였지만 모두 "것대산"으로 읽는 것이요, 또한 각각의 글자를 한자로 번역하여 上嶺山라고 썼지만 뜻으로 읽으면 "것대산"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것"이란 말이 옛날에 "上"의 뜻을 가졌다고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것"을 居次 또는 居叱로 음.. 2010. 4. 19.
발해는 왜 가독부라는 제왕의 호칭을 갖게 되었나? 신채호 선생님의 조선상고사와 조선사연구초에서는 고조선에서는 삼한(三汗)이 었었는데, 각각 신한(辰汗), 말한(馬汗), 불한(潘汗)이며 신한은 정치적 최고 지도자이며 단군(檀君)은 소도(蘇塗)의 종교적 최고 지도자로 고조선시대에는 정치지도자와 종교지도자가 일치하여 단군이 곧 신한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신한에서 "신"은 최고 최상이란 의미라고 하였고 이를 한자로 바꾸면 곧 태왕(太王)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의문은 "신"이 과연 최고 최상이란 의미를 갖느냐는 것이죠. 만약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쓰는 말에 "신"이라는 비슷한 발음을 갖는 접두어가 최고 최상의 의미를 가져야 하지만 아직까지 찾아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에 태왕(太王)?우리 고유어는 신한(辰汗)이 아니라는 가정을 하게 되.. 2009. 12. 19.
臣雲遣支報(신운견지보)를 통해 본 고대어 우리말로 된 제왕의 호칭을 한자어가 많아진 요즘에 이해하기가 참으로 어렵다. 왕이니 황제니 하는 것은 지나의 호칭이고 임금이니 왐검이니 가독부니 하는 것들은 우리의 호칭이지만 사대주의에 눈멀은 조선의 사대부들이 모든 역사용어들을 지나의 것으로 바꾸어 놓았으므로 이제 고대사에 기록된 우리의 임금에 대한 호칭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보자. 신채호선생님께서는 臣雲遣支(신운견지)는 틀렸고 臣雲新國(신운신국)이라는 나라이름으로 인하여 雲(운)자가 잘못 첨가된 말로서 臣遣支(신견지)가 제대로 된 이름이며 이는 “신크치”라는 의미라고 하셨지만 좀 틀린 것 같다. 어떤이들은 臣雲遣支報란 臣雲新國(신운신국)에서 신지를 칭할 때 遣支報(견지보)로 칭한다고 해석하고 있고, 본인도 이에 동의했었지만, 이것도 지금 생각해보니 틀린.. 2009. 12. 9.
臣雲遣支報(신운견지보)와 檀君王儉(단군왕검)과 於羅瑕(어라하)와 可毒夫(가독부) 우리말로 된 제왕의 호칭을 한자어가 많아진 요즘에 이해하기가 참으로 어렵다. 왕이니 황제니 하는 것은 지나의 호칭이고 임금이니 왐검이니 가독부니 하는 것들은 우리의 호칭이지만 사대주의에 눈멀은 조선의 사대부들이 모든 역사용어들을 지나의 것으로 바꾸어 놓았으므로 이제 고대사에 기록된 우리의 임금에 대한 호칭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보자. 신채호선생님께서는 臣雲遣支(신운견지)는 틀렸고 臣雲新國(신운신국)이라는 나라이름으로 인하여 雲(운)자가 잘못 첨가된 말로서 臣遣支(신견지)가 제대로 된 이름이며 이는 “신크치”라는 의미라고 하셨지만 좀 틀린 것 같다. 어떤이들은 臣雲遣支報란 臣雲新國(신운신국)에서 신지를 칭할 때 遣支報(견지보)로 칭한다고 해석하고 있고, 본인도 이에 동의했었지만, 이것도 지금 생각해보니 틀린.. 2009.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