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2

婆娑尼師今記(파사이사금기) (A.D.126 - A.D.158:재위33년) - 해석Ⅰ 元年 二月 上與惠后 親祀祖廟 大享骨門 원년(A.D.126) 2월 왕과 혜후(惠后, 아혜)가 친히 조상의 사당에 제사지내고, 골문(骨門, 종실)에게 성대한 잔치를 벌였다. ≪용어≫ 1. 대향(大享) : ①종묘(宗廟)에서 사맹월(四孟月)의 상순(上旬)과 납일(臘日)에 지내는 제사(祭祀)와 사직(社稷)에서 정월(正月) 첫 신일(辛日)에 풍년(豊年)을 빌며 지내는 제사(祭祀) ② 중춘(仲春)ㆍ중추(仲秋), 첫 무일(戊日)과 납일(臘日)에 지내는 제사(祭祀) 2. 대향(大饗=大享) : 특별한 경축행사에 임금이 베푸는 성대한 잔치 以市老爲伊伐飡 阿休爲稟主 시노(市老)를 이벌찬(伊伐飡, 신라 때의 최고 관리, 진골만이 하는 벼슬로 신라 17관등제와 별도로 제정)으로, 아휴(阿休)를 품주(稟主, 신라 최고의 행정기관인.. 2009. 11. 17.
祗摩紀(지마기) (A.D.159 - A.D.191:재위33년) - 해석Ⅱ 二十一年 正月 束己伊伐飡 吐乙稟主 以私臣繼相 自此始 逸聖廣樹其黨 仍以其臣代 已 文父爲大書頭 21년(A.D.179) 정월 속기(束己)를 이벌찬으로, 토을(吐乙)을 품주로 삼았다. 사신(私臣)이 재상을 이은 것은 이때부터가 시작이다. 일성이 그 무리(黨)를 널리 심었다. 거듭하여 그 신하로 대신하게 하고, 조금 있다가 문부(文父)를 대서두(大書頭)로 삼았다. 二月 角干馬知那薨 葬于卞山 以其妻兪生爲二品權妻 其子兪知那爲殿中郞 2월 각간 마지나(馬知那)가 죽어 변산(卞山)에 장사를 지냈다. 마지나의 처 유생(兪生)을 2품 권처로, 아들 유지나(兪知那)를 전중랑으로 삼았다. 賜米 七利生 旭亥女旭山 쌀을 내렸다. 칠리(七利)가 (감문국) 욱해(旭亥)의 딸 욱산(旭山)을 낳았다. ≪견해≫ 다른 문장과는 순서가 바뀌어 .. 2009. 11. 17.
祗摩紀(지마기) (A.D.159 - A.D.191:재위33년) - 해석Ⅰ 土豕 元年 正月 太公摩帝薨 葬以王禮 토시(土豕=己亥) 원년(A.D.159) 정월 태공 마제가 죽어, 왕례(王禮)로 장사지냈다. 二月 上與愛后 親祀祖廟 賜酺骨門 2월 왕과 애후(愛后, 애례)가 친히 조상의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골문에 연회를 베풀었다. ≪용어≫ 1. 宴(연) : 잔치, 술자리 2. 享(향) : 누리다, 드리다, 제사지내다, 흠향하다 3. 酺(포) : 연회, 귀신이름 昌永伊飡 宮孝稟主 玉權水路 羊皇水母 啓其別軍使 申權(一)吉飡 順宣斗胡級飡 翌宗京路 狗日京母 昕連護城大師 창영(昌永)을 이찬으로, 궁효(宮孝)를 품주로, 옥권(玉權)을 수로로, 양황(羊皇)을 수모로, 계기(啓其)를 별군사, 신권(申權)을 길찬으로, 순선(順宣)과 두호(斗胡)를 급찬으로, 익종(翌宗)을 경로로, 구일(狗日)을 경모.. 2009. 11. 17.
金天大帝法興眞王紀(금천대제법흥진왕기)(A.D.514 - A.D.540:재위27년)-한문본 迎帝天后夢見大白馬 而生 帝聰明睿智 寬厚愛人 天文地理陰陽五行眞書元經弓馬諸術 莫不通解 且有經國大度 任賢 拔才 遂致中興大業威矣至矣 帝身長七尺 隆準龍顔 有神龍 炤明天后 極愛之 曰 “吾弟當興吾邦矣” 命芬宗太子 共治天下 及智證帝 受禪芬宗 讓嗣于帝 四年冬 始監國 首擧伊宗之賢 托以軍事 問政於阿珍宗 國人莫不秤其聖 九年夏 始稱副君 命專大政 尋賜帝號不受 十四年三月 受禪 于九曜宮 尊父帝爲太上老帝智證天王 仙徒乃上帝號 于八白殿 上曰金天大帝法興眞王 受傳國璽寶 于迎帝天后 群臣山呼萬歲 聖齡三十四 帝曰 “惟我神邦 世尊神聖 今我母后 天縱之聖 造國創山 以保朕躬 古有簾政帷詔 朕當大柄 先奉母帝 宜爾群臣體 朕之孝 事我二聖可也” 乃奉后 于玉坐 而上神天大帝法興妙王之號 受傳國璋宝 于帝 群臣亦山呼萬歲 命大書郞好知阿飡 採二聖當國節目上之 翌年七月 老帝崩 .. 2009.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