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수3

상고시대 요수는 백하 수경주는 수경에다가 주석을 붙인 책입니다. 그런데 수경주의 대요수 편을 보면 첫머리부터 이상한 점을 볼 수 있습니다. [수경] 大遼水出塞外衛白平山, 東南入塞, 過遼東襄平縣西. 대요수(大遼水)는 새(塞) 밖의 위백평산(衛白平山) 에서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새(塞)로 들어간 후 요동군(遼東郡) 양평현(襄平縣) 서쪽을 지난다. [주] 遼水亦言出砥石山, 自塞外東流, 直遼東之望平縣西, 王莽之長説也. 屈而西南流, 逕襄平縣故城西. 秦始皇二十二年滅燕, 置遼東郡, 治此. 漢髙帝八年, 封紀通為侯國, 王莽之昌平也, 故平州治. 료 수(遼水)는 또한 지석산(砥石山)에서 나와서 새(塞) 밖으로부터 동쪽으로 흘러, 료동군(遼東郡) 망평현(望平縣) 서쪽과 만나는데(直) 왕망이 장설(長説)로 고쳤다. 굽어서 서남쪽으로 흘러 양평현(.. 2009. 11. 23.
대요수는 난하 통설에 대요수인 상류인 백랑하를 현재의 대릉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면밀히 검토해면 백랑하는 난하의 상류이고 대요수는 난하임을 알 수 있습니다. 1) 수경주에 나타난 이상한 백랑하의 흐름. 수경주에 나타난 백랑하의 기록을 요약해보면.... (우북평군 백랑현)--> 북쪽으로 흐름 --> 서북쪽으로 흐름 --> (광성현) --> 서북쪽으로 흐름 -->(白鹿山을 지나는 石城川水가 합류) --> 북쪽으로 흐름 --> 동쪽으로 흐름 --> 동북쪽으로 흐름 --> (창려현을 지남) --> (倭城을 지난 高平川水가 동쪽으로 흘러 합류) --> 동북쪽으로 흐름 --> (自魯水가 합류) --> 동북쪽으로 흐름 --> (龍山을 지남) --> 북쪽으로 흐름 --> (황룡성을 지남) --> 동북쪽으로 흐름 --> 물줄기가 두 .. 2009. 11. 23.
수경주(水經注) 다시 읽기 여섯번째: 소요수(小遼水) [수경] 또한 현도군 고구려현에 요산이 있는데 소요수가 나오는 곳이다.[1] 又玄菟髙句麗縣有遼山小遼水所出 [주] 고구려현(縣)은 옛 고구려(髙句麗)[2] 호(胡)의 나라이다. 한(漢) 무제(武帝) 원봉(元封) 2년에 우거(右渠)를 평정하고 현도군(玄菟郡)을 이곳에 두었는데 왕망이 하구려라고 하였다. 소요수(水) 는 요산(遼山)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흘러 요양현(遼陽縣)을 지나며 대량수(大梁水)와 모인다. 대량수(水)는 북쪽 새(塞) 밖에서 출발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료양(遼陽)에 이르러 소료수(小遼水)로 들어가는데 옛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대량수(大梁水)는 서남쪽으로 흘러 요양(遼陽)에 이르러 료수(遼水)로 들어간다고 하였으며, 군국지(郡國志)에서는 고구려현(縣)은 옛날에 요동(遼東)에 속했는데 후에 현도(.. 2009.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