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옹곤2

왕검의 단서: 옹곤과 온우제에 나타난 몽골어원 몽골어의 옹곤 혹은 온우제라는 말은 샤만교 관념에서 매우 의무가 너무 광범한 개념이다. 옹곤수(翁袞樹) · 옹곤패(翁袞壩) · 옹곤산(翁袞山) · 옹곤마(翁袞馬) 등과 같이 일체의 숭배의 대상이 모두 옹곤을 머리에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옹곤 혹은 온우제란 이 개념은 우리가 현재 말하고자 하는 우상, 천지, 귀신, 자연, 선조, 토템 등 일체의 숭배대상이다. 온곤 혹은 온우제는 지위가 높거나 낮다든가, 크거나 작다든가, 구체 혹은 추상적이든가, 유형 혹은 무형 등의 구별이 있어, 예를 들면 하늘은 가장 높고 크며 무형적인 옹곤이요, 땅은 그 다음으로 큰 유형적인 옹곤이요 선조의 우상은 유형적인 옹곤 또는 선조 영혼을 담고 다니는 케리어(載體)는 선조의 영혼의 무형적 옹곤 등등이다. 그래서 우리는 .. 2009. 11. 26.
소도와 왕검의 명칭은 흉노에도 있었다 一. 휴저(休屠) 《사기(史記) · 흉노열전(匈奴列傳)》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그 이듬해 봄 한나라는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郭去病)에게 1만 기를 거느리고 농서(隴西)로부터 출격하게 했다. 곽거병은 언지산(焉支山)에서 천여 리나 진출해서 흉노를 공격하여 흉노의 수급 포로 1만 8천 여급을 얻고 휴저왕(休屠王)을 격파한 다음, 선우가 천제를 지낼 때 쓰는 금속제 금인상(金人像)을 손에 넣었다." 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그해 가을 선우는 혼야왕(渾邪王)과 휴저왕(休屠王)이 서쪽에 있어 한나라 군사에게 수만 명이나 죽기도 하고 포로가 되기도 한 것에 대해 화가 나서 그들을 불러들여 책임을 물어 그 두 사람을 죽이려고 했다. 혼야왕과 휴저왕은 두려운 나머지 한나라에 항복할 것을 꾀했다.. 2009.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