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간2

남당 박창화...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를 베끼다 남당의 고구려사초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稱摩帝以酒多干[舒弗邯牛角干]마제를 酒多干(주다간)이라 칭하였다. [酒多干(주다간)이란 舒弗邯(서불한) 혹은 牛角干(우각간)이라 한다.] * 角干이것은 "각간"이라 읽은 것이 아니라 "뿔간"이라 읽는 것이죠. 중세국어를 따르자면 "ㅃ"이 아니라 "ㅅㅂ"입니다.즉, "간"으로 읽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채호선생께서는 角干(각간)의 다른 명칭이 舒弗邯(서불한)이므로 舒를 "소" 혹은 "쇠"의 음사로 보고 角을 현대 글자인 "뿔"로 해석하여 角干의 角은 꼭 "쇠뿔"로 읽어야 한다고 하셨죠. 그래서 角干의 뿔은 오직 소牛의 뿔에 해당된다고 하였습니다.그러나 이러한 신채호선생의 설명을 틀렸는데 왜냐하면 角은 "뿔"로 읽는 것이 아니라 중세국어의 ㅽ을 이용하여 ""로 읽.. 2009. 12. 16.
남당 박창화 고구려사초는 20세기 작품 남당의 고구려사초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稱以 마제를 酒多干(주다간)이라 칭하였다. 酒多干(주다간)이란 舒弗邯(서불한) 혹은 牛角干(우각간)이라 한다. * 角干 이것은 "각간"이라 읽은 것이 아니라 "뿔간"이라 읽는 것이죠. 중세국어를 따르자면 "ㅃ"이 아니라 "ㅅㅂ"입니다. 즉, " 간"으로 읽는 것입니다. 그런데 런데 신채호선생께서는 角干(각간)의 다른 명칭이 舒弗邯(서불한)이므로 舒를 "소" 혹은 "쇠"의 음사로 보고 角을 현대 글자인 "뿔"로 해석하여 角干의 角은 꼭 "쇠뿔"로 읽어야 한다고 하셨죠. 그래서 角干의 뿔은 오직 소牛의 뿔에 해당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신채호선생의 설명을 틀렸는데 왜냐하면 角은 "뿔"로 읽는 것이 아니라 ""로 읽어야하기 때문이죠. * 舒弗邯 고대에 한자.. 2009.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