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남당 박창화...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를 베끼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2. 16.
남당의 고구려사초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稱摩帝以酒多干[舒弗邯牛角干]
마제를 酒多干(주다간)이라 칭하였다. [酒多干(주다간)이란 舒弗邯(서불한) 혹은 牛角干(우각간)이라 한다.]

* 角干

이것은 "각간"이라 읽은 것이 아니라 "뿔간"이라 읽는 것이죠.
중세국어를 따르자면 "ㅃ"이 아니라 "ㅅㅂ"입니다.
즉, "간"으로 읽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채호선생께서는 角干(각간)의 다른 명칭이 舒弗邯(서불한)이므로 舒를 "소" 혹은 "쇠"의 음사로 보고 角을 현대 글자인 "뿔"로 해석하여 角干의 角은 꼭 "쇠뿔"로 읽어야 한다고 하셨죠. 그래서 角干의 뿔은 오직 소牛의 뿔에 해당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신채호선생의 설명을 틀렸는데 왜냐하면 角은 "뿔"로 읽는 것이 아니라 중세국어의 ㅽ을 이용하여 ""로 읽어야하기 때문이죠.

* 舒弗邯

고대에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할때 어려운 것은 어디까지가 초성이고 중성이고 종성인지 구별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舒弗邯은 쇠뿔한이 아니라 舒의 초성인 "ㅅ"을 따고 弗은 그냥 "불"을 따서 "ㅅ불" 즉 ""로 읽으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읽으면 角을 훈독한 것과 똑같아 지는 것입니다.

* 酒多

酒는 옛 말이 "수불"이고 多의 옛 말은 "한"이므로 酒多역시도 "한"의 초기 표현인 것입니다. 
삼국사기에는 酒多라고 처음에는 불리다가 후에 角干이라고 한다고 하였으니 "수불한"의 첫글자 '수'의 모음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탈락되어 발음 되면서 "한"이 되고 이것이 角干으로 표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고구려사초 주석에는 酒多에 干을 붙였으니 틀린 것이고, 더군다나 角干에 牛을 붙였으니 신채호선생의 이론에따라 주석을 달은 것입니다.
角干은 소뿔한이 아니라 '수불한酒多'의 첫 글자 모음이 탈락된 형태인 "한"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