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風神(풍신)의 순우리말은 箕子(기자)이고 "갓이"로 읽어야 한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4. 19.
檀君(단군)은 天神(천신)을 일컫는데 "(당갈)"로 읽는다.
箕子(기자)는 風神(풍신)을 일컫는 것으로 보이는데 무엇이라 읽어야만 할까?

옛말 은 다 그 이름을 붙이는 이유가 있었는데, 天神(천신)을 "당갈"이라 하는 이유는 하늘이 동그랗기때문이었다.
그렇다면 바람의 특징은 무엇일까?

바람은 구름을 불러오기도 하고 쫓아버리기도 한다.
또한 흙먼지를 불어오기도 하지만 쫓아버리기도 한다.
이렇듯 바람은 어떤 상태를 변하게 만드는 근본이다. 이로 인하여 風神(풍신)을 "갓이"라고 하였다.

우리말에 "변해 없어지거나 달라지다"는 뜻을 갖는 "가시다"라는 말이 있다. 중세국어에서는 "가다(가새다)"로 쓰였었다.
이 말의 어간에 주격조사 "이"를 붙여 가시게 하는 주체로 명사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갓이"가 되며 風神(풍신)의 이름이다.

箕子의 오늘날 발음은 "기자"이지만 중세국어에서만 보더라도 箕의 발음은 "긔"였으며 설문해자를 참조하여보면 子는 "지[卽里切]"로 발음하라고 하였다.
한편 경상도지방에서는 "긔"의 발음을 "거이"와 비슷하게 발음하므로 箕子는 곧 "거이지"로 읽을수 있고 이는 風神(풍신)의 우리말 "갓이"  즉 "가시"가 변한음가이다.

箕子可汗(기자가한)은 "가시칸"으로 읽어야 하고
可毒夫(가독부)는 "갓부(갇부)"로 읽어야 하며
居西干(거서간)도 역시 "것칸"으로 읽어야 하는데
모두 風神(풍신)에서 비롯된 임금의 명칭이었다.

삼국사기 잡지에 고구려지명가운데에 王(왕)을 皆次(개차)라 한 흔적이 보이고 백제 임금을 鞬吉支(건길지)라고 한다고 하였는바 여기서 鞬은 곧 "큰"이고 吉支(길지)는 風神(풍신)을 일컫는 말일수도 있겠다. 중국인 사서에서는 이를 渠帥(거수)라 하였는데 帥를 사용하여 임금의 의미를 더한 것이지만 올바른 표현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