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원연구23

오야 옹아 고야 에애추 어릴적 자두(紫桃)는 생소한 말이었지만 지금은 아주 많이 쓰이고 있다. 내가 살던 곳에서는 자두를 "옹아"라 했다.李는 한자사전에 "오얏 리"이라고 했다.그래서 사람들은 자두의 옛이름이 "오얏"이라고 한다. 하지만 李는 오얏이 아니라 "오야"라고 해야 옳다.옥편에 나온 "오얏 리"의 'ㅅ'은 사이시옷으로 봐야 옳다. 토종자두라고 하면서 가끔 보이는 "고야"도 결국 "오야"의 첫소리 "오"가 같은 목구멍소리 "고"로 바뀐 것에 지나지 않는다.그리고 "오야"를 내가 살던 지방에선 더 재밌게 "옹아"라고 불렀던 것 같다. 결국 자두의 옛이름은...오얏이 아니라..."오야 = 고야 = 옹아"라고 봐야 옳다. 옛과객 (2011-08-09 14:35:19) 경상도 우리 고향에서는 자두를 '에애추'라고 했습니다.커고.. 2013. 8. 27.
고어집해(古語集解) - 5 다므사리傭 雇 (名)字會다盛 (東)字會다五 (名)字會달앨誘 (動)龍歌, 字會담뵈蜜狗 (名)龍歌닷修 (動)杜諺답사積 (動)杜諺닷故, 由 탓 (名)龍歌, 杜諺더을添, 加 (動)龍歌, 杜諺, 字會더딜擲 (動)龍歌, 杜諺덦거츨鬱 (形)石峰千字文뎌주嚮者 (副)杜諺뎌를短 (形)杜諺되胡 (名)杜諺됫람嘯 (名)杜諺돌梁 (名)字會돗席 (名)字會돗솔矮松 (名)龍歌됴士 (名)字會두듥岸 (名)杜諺두풀盖 (動)字會두려블 円 (形)釋譜, 杜諺둘輪 (名)杜諺뒤측踵 (名)字會듕媒 (名)字會드르野, 郊 (名)龍歌, 字會志 (名)龍歌들에윰喧 (名)杜諺듸塵 (名)杜諺딜▨, ▨, 落 (動)龍歌, 杜諺 2010. 5. 19.
고어집해(古語集解) - 4 녀느誰, 他人(名)龍歌녀계妓 (名)字會녀름지農 (動)字會녜뉘古 (名)龍歌념통心 (名)字會노을霞 (名)字會노羅 (名)杜諺, 字會노戱 (名)龍歌, 杜諺, 字會노바치俳優 (名)字會누비즁百衲師 (名)龍歌누리世 (名)字會뉘누리湍, 瀧, 渦 (名)字會눈썹眉 (名)字會눈睛 (名)字會부텨瞳 (名)字會눈마올眸 (名)字會두에瞼 (名)字會눈시을睫 (名)字會느지徵, 祥, 感應 (名)龍歌니기熟 (副)龍歌니견去歲 (名)杜諺닐行 (行)龍歌, 杜諺닐버을竊 (動)杜諺 (ㄷ)다시尤 (副)龍歌다與 (副)杜諺 2010. 4. 25.
고어집해(古語集解) - 3 村 (名)龍歌을那, 州 (名)杜諺陰 (名)字會개極 (名)字會並 (副)正音如, 同 (形)杜諺初, 新, ▨ (副)三綱, 杜諺邊 (名)龍歌욀敵, 伉(動)龍歌, 杜諺, 字會글勞 (動)龍歌기平明(名)杜諺파嘆服, 稱讚(動)龍歌 (ㄴ)나죄暮, 夕 (名)杜諺, 字會나進 (動)字會나평臘 (名)字會나내旅 (名)字會나(나)▨ (名)杜諺날믈潢洋 (名)龍歌낟穀 (名)字會烟 (名)字會납猿 (名)字會남진男 (名)杜諺, 字會너블廣 (形)杜諺, 金너출蔓 (名)杜諺널夜 (名)字會너톨淺 (形)龍歌 2010.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