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원연구

탁리 탱리 구려

by 부르칸 2013. 8. 27.

[朝鮮史獨斷 - 1]에서 우리는 壇君(단군)이란 '하늘'의 옛말 ''을 형용이 좋게 음차하였다고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란 이웃 민족 흉노에서 하늘을 뜻하던 tengri라는 말과 어원이 같다.


흉노말과의 유사성


하늘을 흉노에서 무엇이라 불렀는지 중국 문헌에서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한자로 음차되었음을 알 수 있다.[1]


    撐犁(탱리, chēng li) - 현대 중국어 발음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난것 같다.

    祁連(기련, qi lian) 

    統格落(통격락, tǒng ge la)

    騰格哩(등격리, teng ge li)

    騰乞里(등걸리, teng qǐ lǐ)

    天哥里(텬가리, tiān gē lǐ


모두다 제각각이지만 두번째 祁連만 제외한다면 대개 발음이 tengri와 비슷하다.


그리고 撐犁(탱리)와 統格落(통격락)과 騰格哩(등격리)와 騰乞里(등걸리)와 天哥里(텬가리)들은 우리옛말 ''에 '이'를 붙여 명사로 고착화된 말인 '리'와 어원이 같고 '리'는 오늘날 낮춤말이 되어버린 '대가리'의 옛말이다(물론 흉노에 주격조사 '이'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알수는 없지만 그렇게 추측할 뿐이다.).


또한 3음절인 統格落, 騰格哩, 騰乞里, 天哥里들을 2음절인 撐犁로 표현할 수 있음은 tengri를 ten-g-ri로 구분할지 아니면 teng-ri로 구분할지의 차이이며 이는 우리가 자주 헷갈리는 영어단어 hanger를 행어로 읽을지 행거로 읽을지 차이에 지나지 않는데 '리'의 옛이응 ㆁ을 강하게 발음하면 '리'가 되고 약하게 발음하면 '리'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어원은 무엇인가?


위에서 언급한 말들의 어원은 의외로 단순한데 있는데 그것은 곧 '둥글다'라는 말에서 나왔다.


    《頤齋遺藁》卷二十五, 〈華音方言字義解〉

    北虜呼天曰祁連、而韃靼猶呼統格落。統格落者卽我東呼圓之辭。蓋我東呼圓曰斗應斤來、是與韃靼語相近、而所謂格落卽祁連之轉音、况天形圓乎。蒙古卽韃靼古匈奴部種。故言語之傳在我東者亦鑿鑿如此。又攷漢書匈奴呼天曰撑黎、呼子曰孤塗。此其爲單于之尊稱而呼天者。

    북로(北虜)는 하늘을 기련(祁連)이라 하고, 달달(韃靼은 이와 비슷하게 통격락(統格落)이라 한다. 통격락(統格落)이라는 것은 즉 우리말에서 圓(원)을 말하는 것이다. 대개 우리말에 圓을 둥그래(斗應斤來)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달달(韃靼의 말과 서로 비슷하고, 이른바 격락(格落)이라는 것은 기련(祁連)의 전음(轉音)인데, 하물며 하늘의 둥근 형상도 비슷하지 않으랴! 몽골(蒙古)은 곧 달달(韃靼 옛 흉노(匈奴)의 부종(部種)이다. 그래서 언어가 전해져서 우리민족의 말과 같은 것이다. 또한 《한서(漢書)》를 상고해보면 흉노는 하늘을 탱려(撑黎)라 하였고 아들을 고도(孤塗)라 하였다. 이는 單于의 존칭이 되며 이는 하늘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즉, 고대인들은 하늘을 둥그렇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형용하여 우리민족에서는  또는 리가 되었고 흉노에서는 tengri가 되었으니 민족은 다르더라도 서로 이웃한 민족이었기에 서로 생각이 비슷하여 비슷하게 발음했을수도 있으며 리라는 말이 흉노로 들어갔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생각할수 있다.


리의 파생어 句麗(구려)


'덩어리'라는 말은 '동그랗다'에서 파생된 말로서 지역에 따라 '덩거리'라고 하기도 하는데 대개 그 뜻은 "크게 뭉쳐서 이루어진 동그란 것"을 말한다.

'덩어리'에서 '덩'을 탈락시켜 만든 파생어 '아리'는 '송아리'와 '둥우리'와 '봉우리'들에서 찾아볼수 있으며[2] 대개 동그란 것을 지칭하지만 덩어리보단 아리가 더 작은 느낌을 준다. 

이와같이, 우리옛말 리에서 을 탈락시켜 만든 파생어 리는 하늘 또는 하느님을 뜻하던 리보다 더 작은 느낌이 들며 리란 곧 하느님보다 작은 天孫族(천손족)이나 天孫國(천손국)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다. 

리를 句麗로 음차하고 여기에 紇升(흘승)을 漢語로 번역한 高을 붙여 나랏이름을 만든것이 곧 '高句麗'이다. 


리의 다른표현 橐離(탁리)


東明(동명)이란 사람이 도망나와 부여를 세웠다던 橐離(탁리)는 대개 藁離(고리)를 잘못 쓴것이라고 대부분 주장한다.

또 어떤이는 동명이란 자가 藁離에서 나와 부여를 세운것이 아니라 부여에서 나와 藁離를 세운 것을 논형의 저자가 잘못기록한 것이라 보고 논형이나 위략에 나온 동명이란 곧 고구려 추모왕이라고까지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藁離가 아니라 橐離(탁리)가 올바른 것이며 이 橐離는 다름아닌 리 즉 리를 한자로 음차한 것에 지나지 않고 橐離國(탁리국)은 곧 天孫國(천손국)이라는 우리옛말을 한자로 음차한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문제는 橐離(탁리)라는 나라가 어떤나라이며 東明이 부여를 세운 시기가 언제인지 하는 문제가 남는데 이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1] 자세한 사항은 아래와 같다.  


    《前漢書》卷九十四上

     匈奴謂天爲撐犁

     흉노(匈奴)는 하늘을 撐犁(탱리)라고 한다.


    《史記索隱》卷二十四

     祁連山[小顔云即天山也匈奴謂天祁連]

     기련산(祁連山)... 소안(小顔)이 말하기를 천산(天山)이라고 하였다. 흉노(匈奴)는 하늘을 祁連(기련)이라고 한다.


    《管城碩記》卷二十七

     菽園記曰元人謂天曰統格落

     숙원기(菽園記)에서 말하기를 원국(元國) 사람은 하늘을 統格落(통격락)이라 한다고 하였다.


    《欽定元史語解》卷五

     騰格哩哈達, 騰格哩天也, 哈達山峯也, 卷六十三作騰乞里塔, 卷一百二十二作天哥里于荅哈, 併改山名.

     등격리합달(騰格哩哈達)... 騰格哩(등격리)는 하늘을 말하고 합달(哈達)은 산봉우리를 말한다.

     원사(元史) 권63에서는 騰乞里(등걸리) 탑(塔)으로 썼고

     권122에서는 天哥里(텬가리) 우답합(于荅哈)으로 썼는데 모두 고쳐서 썼고 이는 산의 이름이다.


[2] 자세한 것은 이전글 "알과 아리와 아지에 대하여"를 참조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