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원연구

우리고대말에는 /ㅎ/의 음가가 없었다고

by 부르칸 2013. 8. 27.

우리고대말에는 /ㅎ/의 음가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좀 계시는데 /ㅎ/은 우리말 /ㄱ/과 /ㅅ/에서 분화되었다고 한다.


/ㅎ/이 없었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기록들의 재미난 현상은 아래와 같다.


    아사달을 九月山이라 했다면서 九와 "아사"가 그 음이 비슷하다고 하였다(어디서 읽었는지는 까먹었음). 이제보니 九의 뜻의 고대음가는 '아홉'이 아니라 ㅎ이 없는 "아순"와 비슷한 음가였다. 

    "卒本"이라 쓰여져있기도 한 고구려 첫 도읍이 "訖升骨城"이라고 했는데 고대국어에는 'ㅎ'이 없었으므로 우리 고대국가에서는 訖이 "흘"이 아니라 "슬"이며 이는 "졸"과 음가가 비슷하다. 대개 오늘날 "수리(高)"의 뜻에 해당되는 말이다.

    "卒本"을 또한 忽本이라 쓴 것은 忽의 현대국어 발음은 "홀"이지만 고대국어에 ㅎ의 음가가 없었으므로 忽本이 "솔본"으로 읽혔기때문이다. 

    彌鄒忽은 미추홀이 아니라 '미추골'이라고 읽어야 한다. 왜냐하면 고대국어에는 ㅎ가 없기 때문이다.

    만주원류고에 三韓의 韓이 汗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汗의 발음이 현재 우리말로는 "한"이지만 영어로 표기할때는 khan 또는 kan으로 쓰는 것은 "韓"과 "汗"의 고대발음이 "칸"이었기때문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干으로 적은 것은 결국 汗과 같은데 왜냐하면 우리 고대어에는 ㅎ의 발음이 없기때문이다. 干은 '간'이지만 유성자음이 말머리에 올때 곧잘 무성음으로 발음되는 것이 우리말이다. 즉, 우리는 "간"이라고 말하지만 외국인들에게는 "칸"이라고 들린다. 우리는 부산이라 하지만 Pusan으로 표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최남선 선생님은 箕子를 "개아지"라고 하면서 '해日'와 연관시켰는데..."해"의 고대발음이 곧 "개(캐)"이기때문에 이런 연결이 가능한 것이었다.

    좀더 확장한다면 解씨와 高씨가 서로 얽힌 것은 解의 고대발음이 "개"이며 日과 비슷한 뜻을 가지면서 "개"와 비슷한 음가를 갖는 글자가 곧 "高"이기때문일 수도 있으나... 이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王岐縣[1]을 또한 皆次丁이라 하면서 王에 해당되는 고대국어가 "皆次"라고 하였다. 현대에는 皆의 음이 개犬와 음이 같지만 고대에는 ㅎ음가가 없었으므로 "개"가 곧 현대어 "해"이기때문에 그렇게 나쁜뜻이 아니며 犬도 중세에는 '가히'라 하였으니 오늘발 "개"와 고대의 "개"는 심히 차이가 컸었다.





------------

[1]王이 玉으로 된 판본도 존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