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왕검(王儉)과 임검(壬儉)의 문제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0. 2.
단군(檀君)이 나라를 세우고 임검성(壬儉城)에 도읍하였다고 규원사화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나인의 사서에 위만이 나라를 세워 왕험성(王險城)에 도읍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죠.

식민학자들은 왕험성(王險城)은 임검성(壬儉城)의 도읍이라고 주장하여 단군이 도읍한 곳에 기자가 도읍하였고, 또한 후대에 위만이 도읍하였으며 한나라는 이것을 멸망시켜 4개의 군을 설치하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식민사학자들의 말은 거짓입니다. 왜냐하면 임검(壬儉) 두 글자에 숨어있는 그 속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조선 역사 해석의 중요한 단어 웅(熊)
대 부분 단군사화를 해석할 때에 웅녀를 토테미즘으로 해석하거나, 혹은 환웅이 천신족(天神族)이므로 웅녀는 지신족(地神族)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웅족(熊族) 역시 천신족을 다르게 표현한 말이라고 지난번 제가 말한바 있습니다.

간략하게 다시 말하면 웅족(熊族)이란 곰족, 즉 고마족을 말하는 것으로 현대말로 바꾸면 "높은 민족"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이는 하늘에서 내려온 우리 민족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민족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단군사화에서 담고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 민족은 하느님의 자손인 천손(天孫)이며, 또한 세상에서는 가장 높은 민족인 고마족(熊族, 高族)이라는 것을 동시에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임검(壬儉)이 갖는 의미

환웅이 아들을 보통 단군임검(檀君壬儉)이라고 합니다.
이를 해석하기를 단군은 고조선 임금들의 호칭이고 임검은 이름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틀린 말입니다. 우리나라 말과 어순을 모르고 하는 말이죠.
우리나라 말은 대부분 이름을 앞에 붙이고 호칭을 뒤에 붙입니다. 예를 들면 신라의 임금을 뭐라고 삼국사기에 뭐라고 기록하고 있는지 보면됩니다. 3대 임금은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입니다. 이사금유리(尼師今儒理)라고 하지 않습니다.

단군임검도 이와 같습니다.
단 군(檀君)은 이름도 아니고 임금에 대한 호칭도 아닌 시호(諡號)입니다. 따라서 1대단군, 2대단군, 3대단군 이런말은 모두다 틀린 말이죠. 고조선 1대 임금이 죽고 난 뒤에 그를 가리켜 단군(檀君)이라 이름한 것입니다. 왜그럴까요? 이유는 고조선 1대 임금이 백달국(檀國)의 비왕(裨王, 君)이었기 때문입니다. 환단고기에 분명히 단군은 고조선을 건국하기 전에 백달국(檀國)의 비왕이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렇기때문에 그가 죽은 뒤에 시호(諡號)를 단군(檀君)이라 붙인것입니다.

임검(壬儉)은 무엇일까요? 이것이 왕검(王儉)을 잘못기록한 것일까요? 아니면 현대어인 임금을 한자로 표현한 것일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앞 서 웅족(熊族)에 대한 해석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리민족은 가장 높은 민족으로 고마족(熊族)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고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약되어 "곰"으로 되었을 것입니다. 즉, "곰"은 높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고조선이 건국되고 나라에서 높은 자 혹은 부족장 정도인 자를 아마도 "검"이라고 불렀을 것입니다. 높다라는 뜻인 곰으로부터 단어를 파생시켜 지도자인 가장 높은 자를 검이라고 하였을 것입니다. 고조선이 봉건국가인 것을 생각한다면 고조선 최고의 통치자는 부족장인 "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검"이라고 불렸을 것입니다. 즉, "~검"에 해당되는 단어가 "임검(壬儉)"입니다.

壬은 존한자사전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뜻이 있습니다.
【임】아홉째 천간(북방; 오행: 물); 간사하다; 크다.

맨 마지막 뜻인 "크다"라는 뜻을 선택하여 "지도자 중에서 가장 큰 지도자"란 의미인 임검(壬儉)을 사용한 것일겁니다. 이를 만약 한자로 쓴다면 태왕(太王) 정도가 될 것입니다. 제가 역학은 잘 알지 못하지만 임수(壬水)는 천하(天下)의 가장 큰 물을 뜻한다고 합니다.

즉, 검(儉) 중에 가장 큰 검(儉)이란 뜻인 임검(壬儉)이란 것이죠. 이렇게 국가의 최고통치자의 호칭을 붙이는 예가 신라의 마립간입니다. "간"이란 부족장 정도의 통치자이고 국가 통치자는 "간"에 서열을 나타내는 수식어를 붙여 "마립간"이라고 한 것이죠.

이러한 오묘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있는 단어가 바로 임검(壬儉)인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도 모른체 지나인들은 그들의 사서를 위조하기 위하여 위만이 왕험(王險)에 도읍하였고 그 곳은 고조선의 왕이 도읍한 곳이라고 참으로 우수운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임검성(壬儉城)이란 지역 이름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임검(壬儉)이 나라의 최고 통치자를 나타내므로 임검성이란 나라의 최고통치자가 사는 성이라는 뜻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백제의 최고통치자가 사는 성을 고마성(固麻城)이라고 한 것과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그러나 위만이 도읍한 왕험성은 분명히 지역 이름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서 권95
都王險(李奇曰地名也) 위만은 왕험 도읍하였다(이기가 말하기를 지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