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옥저는 삼림의 뜻을 갖는 와지가 아니라 海濱城(해빈성)의 뜻이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6. 12.

옥저(沃沮)에 대해서 만주원류고에서는 삼림(森林)이라 풀이하고 만주어인 "와지"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옥저를 삼림지라고 일반적으로 풀이하기에는 옥저의 영토가 너무 작다.

더군다나 옥저는 삼림의 일반적인 뜻이라기보다는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에 있던 해안가를 의지하고 살았던 나라이다.

 

크기가 1000리라고는 하나 그 영토의 생김새는 길이만 긴 나라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옥저를 와지로 번역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우선 삼국지에 기록된 옥저를 보자.

 

<<삼국지>>동옥저

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 濱大海而居. 其地形東北狹西南長, 可千里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의 동쪽에 있다. 큰 바다에 접하여 산다. 그 땅은 동북쪽으로 갈수록 땅이 좁아지는데 서남쪽으로 긴 형태이다. 땅은 가히 1000리이다.

 

여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동옥저는 바다에 의존해서 살았던 것 같다. 그리고 땅의 모양은 긴 형태로 오른쪽으로 약 45도 정도 기울어진 모양인 듯 하다.

, 아주 긴 이등변삼각형이 시계도는 방향으로 45도 기울어져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뒤로 산이 있고 앞으로 海가 있다.

 

<<삼국지>> 동옥저

其土地肥美, 背山向海, 宜五穀, 善田種.

동옥저의 토질은 비옥하며, 산을 등지고 海를 향해 있어 五穀이 잘 자라며 농사짓기에 적합하다.

 

아무래도 옥저는 바다와 연관있는 나라인 것 같다.

그래서 요사지리지에서는 옥저국의 지역에다가 해주(海州)를 설치하였다.

이곳은 고구려 비사성이고, 발해의 남경 남해부이며, 遼의 해주 남해군이다.

 

그렇다면 옥저란 "바다에 임한 나라"라는 뜻을 갖는가?

 

거란이나 몽골이나 만주어에서 그 흔적을 찾아보면 물(水)을 "오ㅅ" 정도로 표현한 것 같다.

몽골말로 "물水"를 "오소"라고 하였으며 한자로 주로 烏蘇나 烏遜을 사용하였다.[1]

 

아마도 우리민족도 고대에는 “오소”라는 말이 존재했던지 아니면 옥저국이 방계에 속하는 부족이었을지도 모른다. 삼국지를 읽어보면 고구려는 옥저를 아주 천민다루듯이 하였는데 이는 옥저가 고구려와는 민족이 조금 다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어찌됐든지간에 고대에 “물”을 뜻하는 말로 “오소”가 존재했었다.

그런데 이 “오소”가 만주어에서 접두어로 쓰일때에는 “오소”가 “옥”으로 곡용됨을 알 수 있다.

 

欽定遼史語解卷四

沃稜滿洲語水瀾也卷二十七作斡鄰地名

옥릉(沃稜)은 만주어로 물결(水瀾)이라는 뜻이다. 권27에서는 알린(斡鄰)으로 썼는데 지명이다.

 

欽定金史語解卷二

沃楞水紋也卷七十一作兀勒部名

옥릉(沃楞)은 물결[水紋]이라는 뜻이다. 권71에서는 올륵(兀勒)으로 썼는데 부명(部名)이다.

 

欽定金史語解卷三

沃稜水紋也卷二作斡論又作斡隣

옥릉(沃稜)은 물결[水紋]이라는 뜻이다. 권2에서는 알론(斡論) 혹은 알린(斡隣)으로 썼는데 모두 고쳐 물이름[]으로 하였다.

 

, “물”을 뜻할때에는 “오소” 정도로 쓰이다가 “물결”이라는 접두어로 쓰일경우에는 곡용되어 “옥”으로 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저”의 “옥”도 물을 뜻하는 접두사이며 “저”는 곧 성(城)의 고대어 “잣”이다. 즉, 옥저라는 말은 직역하면 수성(水城)이라는 말인데 옥저가 바다에 접하고 있으므로 의역하여 요나라에서는 옥저지역을 해성(海城)으로 바꾸었던 것이다.



[1] 欽定遼史語解卷六

烏蘇蒙古語水也卷六十六作偶思卷一又作綰思非一人

 

欽定金史語解卷一

烏遜古語水也卷八十五作萬僧世宗子

 

欽定金史語解卷二

烏遜蒙古語水也卷六十七作純部名

 

欽定金史語解卷十

烏遜蒙古語水也卷十四作頑僧卷八十五作萬僧

 

欽定金史語解卷十一

烏蘇古語水也卷七十二作完速

 

欽定元史語解卷七

烏蘇水也卷一百二十作灣沙

烏蘇水也卷一百六十五作兀連水名

 

欽定元史語解卷十

烏遜水也卷三作兀尊卷十九作萬僧

 

欽定元史語解卷十三

烏蘇水也卷十三作旺速

 

欽定元史語解卷十七

阿爾烏遜阿爾花紋也鳥遜水也卷四十三作阿里沙又作阿兕溫沙

烏遜阿也烏遜水也卷四十四作阿魯

 

欽定元史語解卷十八

阿實克烏阿實克利也烏水也卷九十九作阿沙阿束

 

欽定元史語解卷二十二

烏蘇齊烏蘇水也齊司事人也卷一百五十一作兀速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