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신당서 해(奚) 열전 번역문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2. 28.
돌궐과 풍속이 비슷하여 물과 풀을 쫓아 목축하며 융단으로 만든 장막에 거주하며 수레를 빙 둘러서 진영을 만들었다. 군장(君長)은 항상 무기를 지닌 오백명으로 막사를 지키게 한다. 나머지 부족은 산간 계곡에 흩어져 살며 세금이 없다. 짐승을 사냥하여 물자로 삼는다. 농사는 기장을 많이 심는데, 수확하고 나면 산아래 구덩이를 파고 저장해 둔다. 나무를 잘라서 절구를 만드며, 솥을 이용해 말린 밥을 만들어 찬물에 말아서 먹는다. 싸우기를 좋아하는데, 군대는 5부로 나뉘며 부마다 사근(俟斤)이 이를 주관한다. 그 나라의 서쪽으로는 대락박(大洛泊)에 이르는데, 회흘(回紇)의 아장에서 3천리 떨어져 있다. 대부분 토호진수(土護眞水 ; 老哈河)에 의거한다. 그 나라의 말은 산에 잘 오르고 양은 검다. 한여름에는 반드시 이동하여 냉형산(冷陘山)으로 들어가 산다. 냉형산은 규주(嬀州) 서북쪽에 있다. 수(隋)나라 때에 이르러 비로소 고진(庫眞 ; 庫莫)을 떼고 단지 해(奚)라고 불렀다. 무덕(武德) 연간에 고개도(高開道)가 해의 군대를 빌려 다시 유주(幽州)를 침략하니, 장사(長史) 왕선(王詵)이 격파하였다. 당나라 태종(太宗) 정관(貞觀) 3년(629) 처음으로 내조하여 17년이 지나도록 모두 네 번 조공하였다. 태종이 고구려를 정벌할 때 (해의) 대추장 소지(蘇支)이 출전하여 공을 세웠다. 몇 년 지나지 않아 추장 가도자(可度者)가 항복해 오니 태종은 요락도독부(饒樂都督府)를 설치하고 가도자에게 사지절(使持節)·6주제군사(六州諸軍事)·요락도독(饒樂都督)을

제수하고 누번현공(樓煩縣公)에 책봉하고 이씨(李氏) 성을 하사하였다. 아회부(阿會部)를 약수주(弱水州), 처화부(處和部)를 기려주(祁黎州), 오실부(奧失部)를 낙괴주(洛瑰州), 도계부(度稽部)를 태로주(太魯州), 원사근부(元俟折部)를 갈야주(渴野州)로 삼고 각 추장 욕흘주(辱紇主)를 자사(刺史)로 임명하여 요락도독부에 예속시켰다. 그리고 다시 동이도호부(東夷都護府)를 영주(營州)에 설치하고 송막(松漠)과 요락의 지역을 아울러 통치하게 하고, 동이교위(東夷校尉)라는 관직도 설치하였다. 현경(顯慶) 연간에 가도자가 죽자, 해가 드디어 (당나라를) 배반하였다. 현경 5년(660) 정양도독(定襄都督) 아사덕구빈(阿史德樞賓)·좌무후장군(左武候將軍) 연타제진(延陀梯眞)·거연주도독(居延州都督) 이함주(李含珠)를 냉형도행군총관(冷陘道行軍總管)으로 삼았다. 이듬해 조서를 내려 상서우승(尙書右丞) 최여경(崔餘慶)을 지절(持節)·총호정양등3도독(總護定襄等三都督)으로 임명하여 토벌하였다. 해가 두려워 항복을 요청하니, 그 나라 왕 필제(匹帝)의 목을 베었다. 만세통천(萬歲通天) 연간에 거란이 (당나라를) 배반하자 해도 배반하여 돌궐(突厥)과 표리를 이루니. 양번(兩蕃)이라고 불렀다. 연화(延和) 원년(712) 좌우림위대장군(左羽林衛大將軍)·유주도독(幽州都督) 손전(孫佺)·좌효위장군(左驍衛將軍) 이해락(李楷洛)·좌위위장군(左威衛將軍)

주이제(周以悌)가 군대 12만을 이끌고 3군으로 나누어 습격하였다. 냉형(冷陘)에 주둔하였을 때 선봉 부대의 이해락이 해의 추장 이대포(李大酺)와 싸우다 불리하였다. 손전이 두려워 군대를 물리면서 이대포에게 거짓으로 말하였다. “내가 조서를 받들어 너희들을 위무하려 왔는데, 이해락이 명령을 어기고 전투를 벌렸으니 천자의 뜻이 아니다. 죽여서 조리돌리겠다” 이대포가 “진실로 우리를 위무한다면 어떤 선물이 있는가” 하자, 손전이 군중의 비단을 내어 띠로 싸서 주었다. 이대포가 사례하며 손전에게 회군할 것을 요청하였다. 전군이 갑옷을 벗고 다투어 앞장서려고 대오를 이탈하자, 이대포가 군사로 추격하여 드디어 대패시켰다. 수만명을 죽이거나 상해를 입히고 손전과 주이제는 모두 사로잡혀 돌궐의 묵철가한(黙啜可汗)에게 보내져 해를 입었다. 이때 조정에서는 여러 가지로 일이 있어서 토벌할 겨를이 없었다. 현종(玄宗) 개원(開元) 2년(714) (해가) 오소회락(奧蘇悔落)을 보내어 항복을 청하니 요락군왕(饒樂郡王)에 봉하고 좌금오위대장군(左金吾衛大將軍)·요락도독(饒樂都督)에 임명하였다. 조서를 내려 종실 출신으로 시집갔던 신(辛)을 고안공주(固安公主)로 삼아 이대포에게 시집보냈다. 이듬해 (이대포가) 몸소 입조하니 혼인이 정식으로 성사되었다. 다시 영주도독부(營州都督府)를 복구하였다. 우령군장군(右領軍將軍) 이제(李濟)에게 부절을 지니고 호송해주었다. 이대포가 나중에 거란(契丹)의 가돌우(可突于)와

싸우다 전사하였다. 동생 노소(魯蘇)가 부족을 다스리며 왕위를 계승하였다. 조서를 내려 보새군(保塞軍) 경략대사(經略大使)를 겸임케 하였다.(해의) 대신 새묵갈(塞黙羯)이 모반하니 공주가 연회를 베풀어 유혹하여 그를 죽였다. 현종이 그 공을 가상히 여겨 공주에게 수만금을 하사하였다. 이때 (공주가 노소의) 어머니와 서로 비방하며 죄를 지었기에 (당나라에서) 다시 성안공주(盛安公主)의 딸 위(韋)를 동광공주(東光公主)로 삼아 시집보냈다. 3년후 노소를 봉성군왕(奉誠郡王)에 책봉하고 우우림위장군(右羽林衛將軍)을 제수하고, (휘하의) 수령을 무려 이백명이나 발탁하여 모두 낭장(郎將)을 제수하였다. 한참 후 거란의 가돌우가 배반하여 해의 무리를 협박하여 돌궐에게 귀속하였다. 그러나 노소는 제어할 수 없어 유관(楡關)으로 달아났고 공주도 평로(平盧)로 달아났다. 유주장사(幽州長史) 조함장(趙含章)이 청이군(淸夷軍)을 동언하여 토벌하니 나머지 해의 무리들이 차츰 귀속하였다. 이듬해 신안왕(信安王) 위(禕)가 그 추장 이시쇄고(李詩鎖高) 등의 부락 5,000장(帳)을 항복시키니, 그 지역을 귀의주(歸義州)로 삼았다. 이시쇄고를 왕으로 삼아 좌우림군대장군(左羽林軍大將軍)·본주도독(本州都督)에 임명하고 비단 10만을 하사하고, 그 부락을 유주의 변방에 안치시켰다. 이시가 죽자 아들 연총(延寵)이 계승하였는데, 다시 거란과 배반하였다가 유주의

장수규(張守珪)에게 곤욕을 당하였다. 연총이 항복하자 다시 요락도독·회신왕(懷信王)을 제수하고 종실 출신으로 시집갔던 양(楊)을 의방공주(宜芳公主)로 삼아 (연총에게) 시집보냈다. 연총이 공주를 죽이고 다시 배반하자, 다른 추장 사고(婆固)를 소신왕(昭信王)·요낙도독으로 삼아 그 부족을 안정시켰다. 안록산(安祿山)이 범양(范陽)의 절도(節度)가 되어 변방에서 공을 세운다고 속여 자주 (해와) 전쟁을 벌여 포로를 화려하게 치장하여 바쳤다. 그 임금 이일월(李日越)을 죽이고, 사로잡은 포로중 날래고 건장한 자들은 운남(雲南)에서 수비병으로 주둔시켰다. 현종의 치세 기간에 해는 모두 여덟 번 조공하였고, 지덕(至德)과 대력(大曆) 연간에는 열두번 조공하였다. 정원(貞元) 4년(788) (해가) 실위(室韋)와 함께 진무(振武)를 공격하였다. 7년뒤 유주(幽州)에서 해의 무리 6만명을 전멸시켰다. 덕종(德宗) 연간에 두차례 조공하였다. 원화(元和) 원년(806) 군장 매락(梅落)이 직접 입조하니 검교사공(檢校司空)·귀성군왕(歸誠郡王)을 제수하였다. 부족의 추장 색저(索氐)는 좌위위장군(爲左威衛將軍)·단계주유혁병마사(檀薊州游弈兵馬使), 몰욕고(沒辱孤)는 평주유혁병마사(平州游弈兵馬使)를 제수하고 모두 이씨(李氏)성을 하사하였다. 그러나 몰래 회골(回鶻)·실위 등과 결탁하여 서성(西城)과 진무를 침범하였다. 대략 헌종(憲宗) 연간에 네 차례 조공하였다. 대화(大和) 4년(830) 다시 변방을 침범하니 노룡(盧龍)의

이재의(李載義)가 격파하고 장수 이백여명을 사로잡고, 추장 여갈(茹羯)을 결박하여 조정에 바쳤다. 문종(文宗)이 관대(冠帶)를 하사하고 우효위장군(右驍衛將軍)을 제수하였다. 5년뒤 대수령 익사랑(匿舍朗)이 내조하였다. 대중(大中) 원년(847) 북부 산간의 해들이 배반하니, 노룡의 장중무(張仲武)가 추장들을 사로잡고 막사를 20만개나 불태워버리고 자사(刺史) 휘하의 면이(面耳) 삼백, 소와 양 칠만, 수레 오백대를 가지고 수도로 돌아와 바쳤다. 함통(咸通) 9년(868) 그 왕 돌동소(突董蘇)가 대도독(大都督) 살갈(薩葛)을 보내 입조하였다. 이후 거란이 점차 강성해 져 해가 감히 항거하지 못하고 모든 부족이 복속되었다. (거란이 해를) 가혹하게 다스리자 해가 원망하여 추장 거제(去諸)가 별도의 부족을 이끌고 (당나라로) 항복해 와서 규주(嬀州)의 북쪽 산에 거주하니, 드디어 동해(東奚)와 서해(西奚)로 나뉘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