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원연구

수도를 뜻하는 옛말을 오늘날말로 바꾸면 거의다 "수릿골"이다

by 부르칸 2013. 8. 27.

수도를 뜻하는 옛말을 오늘날말로 바꾸면 거의다 "수릿골"이다. 한자어로 대략 바꾼다면 高邑 정도된다.

그런데 高를 뜻하던 말과 松을 뜻하던 옛말이 비슷하여 한자로 혼동하여 썼다. 지금도 松을 '소나무'이라 하기도 하지만 '소오리나무'라 하기도 한다.


부소량(扶踈樑)의 '부소(扶踈'는 곧 松이란 뜻이고 사투리로는 비서갑(非西岬)의 '비서(非西)'이다. 우리말은 '비'와 '부'가 서로 혼용되는데 오늘날 남아 있는 말 중에 이런걸 찾는다면 '부계'와 '비계'를 예로 들을 수 있다.[1]


고구려에서 '부소'는 '비사'로도 쓰였지만 같은 곳은 아니고

삼국사기에 '조리비서'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이 비서갑과 같은 곳이 아닐까 한다.


비서갑은 다시 한자가 널리 사용되면서 '비서' 즉 '부소'를 松으로 뜻을 빌리고 '갑'은 岳으로 써서 '松岳'이라 하였다.

이 역시 앞서 말한 부소량과는 다른 곳이라 생각된다.


백제에서는 첫음절과 둘째음절이 도치가 일어나 '비사'는 '사비'가 되었고 '부소'는 '소부'가 되어 '소부리'라는 명칭이 생겼다.


또한 고구려에서도 첫도읍을 '소부리'라 이름하였으니 이곳이 곧 忽本(솔부리)이다. 忽을 '홀'로 읽을수 없음은 고대우리말에 'ㅎ'의 음가가 없었기 때문이며 忽은 '솔'에 가깝게 읽어야 한다. 그리고 本은 곧 '부리'로 읽어야 하는데 오늘날말의 '뿌리'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것들은 모두 '도읍'이라는 말인데 현대말로는 '서울'이니 '소부리'가 변한 말이며 그 뜻을 헤아려보면 '수릿골'에 오히려 가깝다.




----------------------

[1]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 (네이버 국어사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