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국지 관직정보

by 부르칸 2015. 4. 3.

1품 대장군(大將軍)

상설기관은 아니지만 무관 최고위직. 삼공보다 상위직이다. 독자적으로 장군부(將軍府)를 열어 정치에 관여할 수도 있다. 대장군과 별도로 2품의 중군대장군(中軍大將軍), 하군대장군(下軍大將軍), 진군대장군(軍大將軍),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남중대장군(南中大將軍),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이 있다.

 

2품 표기장군(驃騎將軍)

삼공 아래의 상설기관. 평상시에 군을 통솔하는 최고위 무관. 군을 총지휘하는 장군.


2품 거기장군(車騎將軍)

표기장군 다음의 고위직 무관. 전차부대와 기병부대를 총지휘하는 장군.

 

2품 위장군(衛將軍)

거기장군 다음의 고위직 무관. 황제의 경호 및 궁궐 수비 등의 임무가 있다.

 

2품

중군대장군(中軍大將軍)

하군대장군(下軍大將軍)

진군대장군(軍大將軍)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남중대장군(南中大將軍)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2품:(四征)장군

정동장군(征東將軍)

정서장군(征西將軍)

정남장군(征南將軍),

정북장군(征北將軍)

-표기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2품 (四)장군

진동장군(鎭東將軍)

진서장군(西將軍

진남장군(將軍

진북장군(將軍)

-거기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3품 이하의 기타 장군직

전장군(前將軍), 

후장군(後將軍

좌장군(左將軍)

우장군(右將軍

- 대장군 아래 일곱 장군. 전투시 대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안동장군(安東將軍

안서장군(安西將軍)

안남장군(安南將軍

안북장군(安北將軍)

-위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평동장군(平東將軍

평서장군(平西將軍)

평남장군(平南將軍)

평북장군(平北將軍)

-전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파동장군(破東將軍)

파서장군(破西將軍)

파남장군(破南將軍)

파북장군(破北將軍)

-후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정로장군(征虜將軍)

안원장군(安遠將軍)

평구장군(平寇將軍)

보국장군(輔國將軍)

-좌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호분장군(虎賁將軍)

호아장군(虎牙將軍)

도료장군(渡遼將軍)

보한장군(輔漢將軍)

-우장군의 지휘를 받습니다

 

 

 

평난장군(平難將軍)

양렬장군(揚烈將軍)

양무장군(揚武將軍)

양위장군(揚威將軍)

어림장군(御林將軍)

 


편장군

비장군

 


★★★★중랑장★★★★

 


-오관중랑장(五官中郞長)

-좌중랑장(左中郞長) 

-우중랑장(右中郞長)

-호분중랑장(虎賁中郞長)

-우림중랑장(羽林中郞長)

 


★★★교위직★★★

 


1교위 -

대장군 배하의 군관. 제 3등관으로 연대장이라 할만한 자리.

오부로 갈려있었다.

 


2교위 

여단장급의 군관직 월기 교위, 중루 교위, 사성 교위 등 팔 교위가 있으며,

도성 밖에 주둔하는 군대를 거느린다.

 


기도위

중랑장과 같이, 황제의 시위를 관장하는 광록훈에 속하며, 기병 담당으로

정원이 10명 이었다. 제 3등관으로 근위 기병 연대장쯤의 직책

 


봉군 도위

천자의 수레에만 배승하는 근위 기병의 연대장격.

6등관(2천석).

 


북도위

각군(各郡)의 방비와 치안을 맡아 보던 제3등관(2천석)의 군관. 후한에서는 필요있을때마다 중요한 지점에 두었다. 사단장 쯤이라면 알맞겠다.

 


사예교위

한나라 13주 가운데, 도성에 가까운 일주 칠군만은 3등관인 사예교위가 통괄하였다. 교위라 한 것은 군사권까지를 겸해쥐고 있었던 때문인 것 같다.

 


성문교위 

낙양의 도성의 열 두 성문을 지키는 위병 사령관.

3등관(2천석).

 


영군도위

연대장 격의 군관으로 생각된다.

 


월기교위

팔 교위의 하나로 도성 밖에 주둔하는 군대를 통솔한다. 월인(越人)으로써

조직된 기병대였다는 설이 있다. 기병 여단장격.

 


장수교위

상비군의 부대장으로서 여단장 격. 2등관(2천석).

 


절충교위

적벽대전때 조조의 부하 악진이 '절충장군'이었던 데서 비롯된 요직 군관으로서,

여단장 격. 절충이란 적을 무찔러 꺾는다는 뜻이다.

 


효기교위

<백관지(百官志)>에 나타나지 않는 관명이지만 근위기병에는 효기라 칭하는 것

이 있었으며, 삼국 분립 후에는 위에 효기 장군이란 것이 있었다.

4등관으로서, 근위 기병의 여단장 격.

 


무관 총 17명

 

 

 

 

 

 

 

 

 

 

 

 

 

 

 

 


문관

 


-------승상(承相) -     -------

 

 

 

-녹상서사(錄尙書事) 

 

 

★★ 삼사(三?) ★★(황제의고문격)

 


-태부(太傅)

-태사(太師) 

-태보(太?)

 


★★삼공(三公)★★

 


-어사대부(御史大夫) 

-태위(太尉)

-사도(司徒)

 


★★ 구경(九卿 )★★

 


-태상(太常) 

-광록훈(光祿勳)

-위위(衛尉)

-태복(太僕) 

-집금오(執金吾)

-정위(廷尉)

-대홍로(大鴻?) 

-종정(宗正)

-대사농(大司農)

-소부(少府)

 


★★ 상서(尙書) ★★

 


-상서령(尙書令)

 


-이부상서(吏部尙書)

-호부상서(戶部尙書)

-예부상서(禮部尙書)

-병부상서(兵部尙書)

-형부상서(刑部尙書)

-공부상서(工部尙書)

 

 

 

-상서복야(尙書??)

-상서시랑(尙書侍郞)

-상서좌승상(尙書左承相)

-상서우승상(尙書右承相)

 


-하남윤(河南尹)

-주부(主簿)

 


-주목(州牧) 

 


-태수(太守) 

 


-장사(長史): 승상,태수 등의 속관

 

 

 

-광록대부(光祿大夫) 

-시중(侍中)

-위랑(衛郞) 

 


-태중대부(太中大夫)

-정위정(廷尉正)

-정위감(廷尉監)

-중상시(中常侍) 

-어사중승(御史中承) 

 


-태사령(太史令) 

-박사(博士)

-중산대부(中散大夫) 

-간의대부(諫議大夫) 

-의랑(議郞)

-알자복야(謁者僕?) 

-소황문(小黃門)

-현령(懸令)

-황문시랑(黃門侍郞)

 


-공거사마령(公車司馬令)

-남궁위사령(南宮偉士令)

-고공령(考工令)

-거부령(車府令)

-정위평(廷尉平)

-대행령(大行令)

-태창령(太倉令)

-평준령(平準令)

-태의령(太醫令)

-태관령(太官令)

-황문령(黃門令)

 


-치서시어사(治書侍御史)

-난치령사(蘭治令史)

-종사중랑(從事中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