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역사 논설

살수(薩水)란 지나인을 "뒤덮은 물"이라는 뜻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1. 30.

살수(薩水)의 "살"을 청(靑)으로 해석하여 현재 청천강이라고 하는 이들이 있다.
그러나 고구려가 우리민족과 완전히 다른 민족이 아니라면 푸른색을 "살"이라고 했을 리가 없다.
본 글에서는 살수가 무슨 의미인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살수(薩水)를 혹 살하수(薩賀水)라고 지나사서에 적혀있기도 한데 이는 지나인들이 잘못알고 쓴 것이다.
이전에 본 블로그에 살수란 자연해자를 일컷는 것이라 했으나, 그 글은 小圍의 해석을 잘못하여 쓴 것이므로 올바른 해석이 아니다.

청사만어사전을 찾아보면 薩哈이란 滿文爲 saha. 漢義爲敎猎, 令砌, 知道了. 日下舊聞考 卷三. 薩哈, 滿洲語小圍也, 舊作撤合라 하였으므로 대충해석하면 "小圍란 사냥을 가르칠때 섬돌을 쌓아서 그 길을 알려주는 것"이라는 뜻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사냥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본격적인 사냥을 대위(大圍)라고 그보다 규모가 작은 것을 소위(小圍)라고 하였다."고 하니, 살합薩哈이란 살수(薩水)와 아무런 연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만주어 "薩喇(살랄)"의 우리말과 연관성 

살수(薩水)와 그 발음이 비슷한 만주어가 있으니 바로 薩喇(살랄)이다. 만주어로는 sara로 읽는다.

 역시 청사만어사전을 참고하여보면

滿文爲 sara. 漢義爲撤袋, 弓▓等上的鉓件, 傘

이는 곧 비 올때 사람을 덮는 우산 혹은 해을 가리는 양산을 말하는 것이다.  

요금원국어해에서 살랄薩喇를 찾아보니 薩喇繖也라고 하였는데 산繖은 양산과 우산이라는 말이다.

 

그러면 우산과 양산을 뜻하는 산繖이라는 말과 우리말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자

 

강희자전에서 繖을 찾아보면 그 뜻은 笠과 蓋의 뜻인데 “삿갓”과 “덮다”라는 말이다.

삿갓이란 갓의 종류 중에 머리와 어깨 전체를 덮는 갓이라는 뜻으로 삿갓이라고 한것이다.

그러면 삿갓의 '삿'은 옛말에 "덮는"이라는 뜻을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삿갓을 한자로 蓋笠(덮을 개, 갓 립)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만주말과 우리말이 그리 다르지 않으며 덮는다는 뜻인 만주어 薩喇(살랄, sara)는 우리말의 '삿'과 같은 것이다.

 

살수의 의미

살수대전에서 지나인들은 물길에 휩싸여 다 죽었다.

그래서 그 강을 '삿물'이라고 한 것인데,

"삿물 --> 산물 --> 살물"로 변하였으며

"살물"을 음차하고 훈차하여 '살'을 薩로 '물'을 水로 적은 것이다.

즉, 살수란 살수대전이 있을때 강 이름이 아니라 살수대전이 있은 후에 이름지어진 것이다.

살수란 지나인들을 강안에서 강물로 덮어 죽였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