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중국사 열전

구당서舊唐書 발해말갈渤海靺鞨 전문번역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17.
발해말갈의 대조영(大祚榮)은 본래 고구려의 별종이다. 고구려가 멸망하자 대조영은 가족과 무리를 이끌고 영주(營州)로 옮겨와 살았다. 당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만세통천(萬歲通天)(696)에 거란인(契丹人) 이진충(李盡忠)이 영주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대조영과 말갈인(靺鞨人) 걸사비우(乞四比羽)가 각각 무리를 이끌고 동쪽으로 달아나 험준한 곳을 지키며 스스로 방비하였다. 이진충이 죽자 측천무후는 좌옥검위대장군(右玉鈐衛大將軍) 이해고(李楷固)에게 이진충의 잔당을 토벌케 하였다. 이해고의 당나라 군대는 먼저 걸사비우를 격파하여 참하고, 다시 천문령(天門嶺)을 넘어 대조영 군대를 압박하였다.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의 무리를 규합하여 이해고의 당나라 군대에 항거하니, 당나라 군대가 대패하고 이해고만 몸을 빼어 귀환하였다. 때마침 거란과 해(奚)가 모두 돌궐(突厥)에 항복하니, 측천무후는 더 이상 토벌할 수 없었다. 대조영은 드디어 무리를 이끌고 동쪽으로 가서 계루(桂婁)의 옛 땅을 차지하고, 동모산(東牟山)에 의지하여 성을 쌓고 살았다. 대조영은 굳세고 용감하며 용병에 능하니, 말갈의 무리와 나머지 고구려 유민들이 점점 귀속하였다. 성력(聖曆 ; 698~700) 연간에 대조영이 자립하여 진국왕(振國王)이라 하고, 돌궐에 사신을 보내 통교하였다. 그 지역은 영주 동쪽 2천리 밖에 있으며, 남쪽은 신라(新羅)와 서로 접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월희말갈(越憙靺鞨), 동북쪽으로는 흑수말갈(黑水靺鞨)에 이르니, 사방이 2천리이나 된다. 인구는 십여만이고 군사는 수만명이나 되었다. 풍속은 고구려 및 거란과 같고, 문자로 기록된 책들도 제법 많았다. 당나라 중종(中宗)이 즉위하자(705), 시어사(侍御史) 장행급(張行岌)을 보내어 회유하니, 대조영은 아들을 보내어 입시토록 하였다. 이때 당나라는 책봉까지 하려고 하였는데, 마침 거란과 돌궐이 해마다 변경을 침입하므로 칙명이 전달되지 않았다. 당나라 예종(睿宗) 선천(先天) 2년(713)에 낭장(郎將) 최흔(崔訢)을 보내어 대조영을 좌효위원외대장군(左驍衛員外大將軍)·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책봉하고, 아울러 그가 통치하고 있는 지역을 홀한주(忽汗州)로 삼아서 홀한주도독(忽汗州都督)이라는 관직을 더해 주었다. 이로부터 발해에서는 해마다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고 조공하였다. 당나라 현종(玄宗) 개원(開元) 7년(719)에 대조영이 죽으니, 현종(玄宗)이 사신을 보내어 조문하였다. 그리고 그의 적자인 계루군왕(桂樓郡王) 대무예(大武藝)에게 아버지의 지위를 계승하여 좌효위대장군·발해군왕·홀한주도독으로 책봉하였다. 개원 14년(726)에 흑수말갈이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므로 현종은 흑수말갈의 지역을 흑수주(黑水州)로 삼아 당나라 관직인 장사(長史)를 설치하고, 사신을 보내어 관할하도록 하였다. 대무예가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흑수말갈은 우리 국경을 지나야 비로소 당나라와 서로 통교할 수 있다. 흑수말갈이 지난날 돌궐에게 토둔(吐屯)을 요청할 적에도 모두 우리에게 먼저 알리고 함께 갔다. 그런데 지금 우리와 의논하지 않고 곧바로 당나라 관리를 요청하였으니, 이는 흑수말갈이 반드시 당나라와 공모를 하여 앞뒤에서 우리를 공격하려는 것이다.” 친동생 대문예(大門藝) 및 외숙부 임아(任雅)에게 군대를 일으켜 흑수말갈을 공격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대문예는 일찍이 볼모로 당나라 수도에 머물다가 개원연간 초반에 귀국하였다. 이때 대무예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흑수말갈이 당나라에 관리를 요청하였다고 해서 그들을 바로 공격하고자 한다면 이는 당나라와 등지는 셈이 됩니다. 당나라는 사람이 많고 군사가 강한 것이 우리보다 만배나 됩니다. 그런데 하루아침에 원수를 맺는다면 스스로 멸망을 초래할 뿐입니다. 지난날 고구려가 전성기에 강력한 군사가 30만이나 되었지만 당나라와 맞서고 섬기지 않다가, 당나라 군사가 한번 이르자 땅을 쓸 듯이 다 없애 버렸습니다. 오늘날 발해의 무리는 고구려보다 몇 배나 적습니다. 그러니 당나라와 등지려는 것은 형세상 불가합니다” 그러나 대무예는 그 의견에 따르지 않았다. 대문예가 국경에 이르러 다시 상소하여 간절하게 간하였다. 대무예가 노하여 사촌형 대일하(大壹夏)를 보내 대문예를 대신하여 군대를 지휘하게 하고, 대문예는 소환하여 죽이려고 하였다. 대문예가 드디어 무리를 버리고 샛길로 도망쳐 오니, 당나라는 그에게 좌효위장군(左驍衛將軍)을 제수하였다.

대무예는 얼마후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이어서 표문을 올려 대문예의 죄상을 극렬하게 말하고 죽여달라고 요청하였다. 현종은 몰래 대문예를 안서(安西) 지방으로 보내고는 대무예에게 글을 보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대문예가 멀리서 귀순해 왔으니, 의리상 죽일 수는 없다. (그러나 그대에게 죄를 지었으니) 지금 영남(嶺南)지방으로 유배보내어 이미 떠났다” 그리고 발해 사신 마문궤(馬文軌)와 총물아(葱勿雅)를 당나라에 머무르게 하고, 별도로 사신을 보내어 알렸다. (그러나) 얼마후 정보가 누설되자, 대무예가 다시 글을 올려 말하였다. “대국은 신의를 보여야 하거늘 어떻게 속이는 이치가 있을 수 있습니까? 지금 들으니 대문예가 영남지방으로 가지 않았다고 하니, 엎드려 바라건대 예전의 요청대로 (그를) 죽여주십시오”하였다. 이로 인해 홍려소경(鴻臚少卿) 이도수(李道邃)와 원복(源復)은 휘하 관리들을 제대로 감독하지 못하고 정보를 누설시켰다고 하여, 이도수는 조주자사(曹州刺史), 원복은 택주자사(澤州刺史)로 좌천시켰다. 그리고 대문예는 잠시 영남지방으로 보내고 발해에 회답하였다. 개원 20년(732)에 대무예가 장군 장문휴(張文休)를 보내어 해적을 거느리고 등주자사(登州刺史) 위준(韋俊)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현종은 대문예를 유주(幽州 ; 지금의 북경)로 보내어 군사를 징발하여

발해를 토벌케 하였다. 이어서 태복원외경(太僕員外卿) 김사란(金思蘭)을 신라로 돌려보내 군사를 징발하여 발해의 남쪽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마침 산이 험하고 날씨가 추운 데다 눈이 한 길(3미터)이나 내려서 병사들이 태반이나 얼어 죽으니, 아무런 공도 세우지 못한 채 돌아왔다. 대무예가 원한을 풀지 못하여 몰래 당나라 동쪽 수도인 낙양(洛陽)에 사자를 보내어 자객을 고용하여 천진교(天津橋) 남쪽에서 대문예를 암살하도록 하였으나, 대문예는 자객들을 물리치고 살아났다. 현종은 하남부(河南府)에 명하여 자객들을 모두 잡아다 죽였다. 개원 25년(737)에 대무예가 병들어 죽으니, 그의 아들 대흠무가 왕위에 올랐다. 현종은 내시 단수간(段守簡)을 보내어 대흠무 발해군왕으로 책봉하고, 아버지의 직위를 계승하여 좌효위대장군·홀한주도독으로 삼았다. 대흠무는 조서를 받들어 국내에 사면령을 내리는 한편, 단수간이 돌아가는 편에 사신을 보내어 입조하고 공물을 바쳤다. 당나라 대종(代宗) 대력(大曆) 2년(767)에서 10년(775)에 이르기까지 발해는 어떤 때는 자주 사신을 보내어 조회하고, 어떤 때는 해를 걸러 보내기도 하였는데, 심지어 한해에 두 세 번 보낸 경우도 있었다. 대력 12년(777) 1월에 사신을 보내어 일본(日本)의 여자 무용수 11인 및 특산품을 바쳤다. 4월과 12월에 사신을 다시 보냈다. 당나라 덕종(德宗) 건중(建中) 3년(782) 5월에 사신을 보냈다. 정원(貞元) 7년(791) 1월에도 사신을 보내어 조회하니, 당나라는 발해 사신 대상정(大常靖)에게 위위경동정(衛尉卿同正)이라는 벼슬을 내리고

본국으로 돌려 보냈다. 8월에 발해의 왕자 대정한(大貞翰)이 내조하여 숙위(宿衛)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정원 10년(794) 1월에 사신으로 온 발해 왕자 대청윤(大淸允)에게 우위장군동정(右衛將軍同正)이라는 벼슬을 내리고, 그 아래 30여인에게도 차등 있게 벼슬을 내려 주었다. 정원 11년(795) 2월에 내상시(內常侍) 은지섬(殷志贍)을 발해에 보내어 대숭린(大嵩璘)을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책봉하였다. 정원 14년(798)에 대숭린에게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검교사공(檢校司空)을 더해주고 발해국왕(渤海國王)으로 승진시켜 책봉하였다. 대숭린의 아버지 대흠무는 개원 연간(713~741)에 아버지의 직위를 세습하여 발해군왕·좌금오대장군(左金吾大將軍)이 되었는데, 천보(天寶) 연간(742~755)에 여러 차례에 걸쳐 특진(特進)·태자첨사빈객(太子詹事賓客)이 더해졌으며, 보응(寶應) 원년(762)에 발해국왕으로 승진하여 책봉되었고, 대력 연간(766~779)에는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공(司空)과 태위(太尉)를 제수받았다. 그런데 대숭린이 왕위에 오를 때 다만 오히려 낮추어 발해군왕과 장군만을 제수받았다. 그래서 대숭린이 사신을 보내어 이치를 따진 끝에 당나라에서 새로이 책봉을 내렸던 것이다. 11월에 대숭린의 조카 대능신(大能信)에게 좌효위중랑장(左驍衛中郞將)·우후루번장(慮候婁蕃長)이라는 벼슬을 내리고, 도독 여부구(茹富仇)에게 우무위장군(右武衛將軍)이라는 벼슬을 내리고 발해로 귀국시켰다. 정원 21년(805)에 발해에서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당나라 순종(順宗)은 대숭린에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검교사공(檢校司空)을 더해 주었다. 헌종(憲宗) 원화(元和) 원년(806) 10월에 대숭린을 검교태위(檢校太尉)로 올려 주었다. 12월에 발해에서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원화 4년(809) 대숭린의 아들 대원유(大元瑜)에게 은청광록대부·검교비서감(檢校秘書監)·홀한주도독으로 삼고, 종전대로 발해국왕에 책봉하였다. 원화 5년(810)에 두 번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원화 7년(812)에 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원화 8년(813) 1월에 대원유의 아우 권지국무(權知國務) 대언의(大言義)를 은청광록대부·검교비서감·(홀한주)도독·발해국왕에 책봉하였는데, 이때 내시 이중민(李重旻)을 책봉사로 파견하였다. 원화 13년(818)에 발해에서 사신을 보내 조공하는 한편 대언의의 죽음을 알렸다. 5월에 지국무(知國務) 대인수(大仁秀)를 은청광록대부·검교비서감·(홀한주)도독·발해국왕에 책봉하였다. 원화 15년(820) 윤정월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니, 대인수에게 금자광록대부·검교사공을 더해 주었다. 12월에 다시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목종(穆宗) 장경(長慶) 2년(822) 1월에 사신을 보내 왔다. 4년(824) 2월에 대예(大叡) 등 5인이 내조하여 숙위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문종(文宗) 태화(太和) 원년(827)과 4년(830)에도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태화 5년(831)에 대인수가 죽으니, 권지국무 대이진(大彛震)을 은청광록대부·검교비서감·(홀한주)도독·발해국왕에 책봉하였다. 경종(敬宗) 보력(寶曆)

연간(825~827)에도 해마다 조공을 하였다. 태화 6년(832)에 왕자 대명준(大明俊) 등을 보내어 내조하였다. 태화 7년(833) 1월에 동중서우평장사(同中書右平章事) 고보영(高寶英)을 보내어 책봉에 대해 사례하고, 이어서 학생 3인을 고보영의 편에 보내어 당나라 수도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이때) 앞서 왔던 학생 3인이 학업을 마쳐 귀국하고자 요청하므로 허락해 주었다. 2월에 왕자 대선성(大先晟) 등 6인이 내조하였다. 개성(開成) 연간(836~840) 이후로도 조공이 끊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