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지리지

한서지리지의 유주(幽州) 등 우리역사 관련지명 번역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1. 4.
1. 유주(幽州)
① 탁군(涿郡)
涿郡, 高帝置. 莽曰垣翰. 屬幽州. 戸十九萬五千六百七, 口七十八萬二千七百六十四. 有鐡官. 縣二十九. 涿, 桃水首受淶水, 分東至安次入河.[1] 逎, 莽曰逎屛.[2] 榖丘, 故安, 閻鄉, 易水所出, 東至范陽入濡也. 并州䆮. 水亦至范陽入淶.[3] 南深澤, 范陽, 莽曰順陰.[4] 蠡吾,[5] 容城, 莽曰深澤. 易, 廣望, 侯國. 鄭, 莽曰言符.[6] 高陽, 莽曰高亭.[7] 州鄉, 侯國. 安平, 都尉治. 莽曰廣望亭. 樊輿, 侯國. 莽曰握符. 成, 侯國. 莽曰宜家. 良鄉, 侯國. 垣水南東至陽鄉入桃. 莽曰廣陽. 利鄉, 侯國. 莽曰章符. 臨鄉, 侯國. 益昌, 侯國. 莽曰有祑[8]. 陽鄉, 侯國. 莽曰章武. 西鄉, 侯國. 莽曰移風. 饒陽,[9] 中水,[10] 武垣, 莽曰垣翰亭.[11] 阿陵, 莽曰阿陸. 阿武, 侯國. 高郭, 侯國. 莽曰廣隄. 新昌. 侯國.
탁군(涿郡). 고제(高帝)[각주:1]가 설치하였다. 왕망(王莽)은 원한(垣翰)이라고 고쳤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19,5607이고 인구수는 78,2764명이다. 철관(鐡官)이 있다. 현은 29개이다.
1) 탁현(涿縣). 도수(桃水)의 머리(상류?)에서 래수(淶水)를 받는다. 동쪽으로 나뉘어 안차(安次)에 도달하여 하수(河水)로 들어간다. [1]
2) 주현(逎縣). 왕망은 주병(逎屛)이라고 고쳤었다.[2]
3) 곡구현(榖丘縣).
4) 고안현(故安縣). 염향(閻鄉)이다. 역수(易水)가 나와서 동쪽으로 범양(范陽)에 이르러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병주(并州)에 물을 댄다. 역수는 또한 범양(范陽)에서 래수(淶水)로 들어간다.[3]
5) 남심택현(南深澤縣)
6) 범양현(范陽縣), 왕망은 순음(順陰)이라고 고쳤었다.[4]
7) 려오현(蠡吾縣),[5]
8) 용성현(容城縣), 왕망은 심택(深澤)이라고 고쳤었다.
9) 역현(易縣),
10) 광망현(廣望縣), 후국(侯國)이다.
11) 정현(鄭縣), 왕망이 말하기를 부(符)라 말하여진다고 하였다.[6]
12) 고양현(高陽縣), 왕망은 고정(高亭)이라고 고쳤다.[7]
13) 주향현(州鄉縣), 후국(侯國)이다.
14) 안평현(安平縣), 도위(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광망정(廣望亭)이라고 고쳤다.
15) 번여현(樊輿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악부(握符)라고 고쳤다.
16) 성현(成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의가(宜家)라 하였다.
17) 량향현(良鄉縣), 후국(侯國)이다. 원수(垣水)가 동남쪽으로 양향현(陽鄉縣)에 이르러 도수(桃水)로 들어간다. 왕망이 말하기를 광양(廣陽)이라 하였다.
18) 리향현(利鄉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장부(章符)라 하였다.
19) 임향현(臨鄉縣), 후국(侯國)이다.
20) 익창현(益昌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유질(有祑)이라 하였다[8].
21) 양향현(陽鄉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장무(章武)라 하였다.
22) 서향현(西鄉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이풍(移風)이라 하였다.
23) 요양현(饒陽縣),[9]
24) 중수현(中水縣),[10]
25) 무원현(武垣縣), 왕망이 말하기를 원한정(垣翰亭)이라 하였다.[11]
26) 아릉현(阿陵縣), 왕망이 말하기를 아륙(阿陸)이라 하였다.
27) 아무현(阿武縣), 후국(侯國)이다.
28)고곽현(高郭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광제(廣隄)라 하였다.
29) 신창현(新昌縣). 후국(侯國)이다.
[1] 應劭曰, 涿水出上谷涿鹿縣. 師古曰淶音來.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탁수(涿水)는 상곡군(上谷郡) 탁록현(涿鹿縣)을 나온다고 하였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淶(래)의 음은 래(來)라 하였다.
[2] 師古曰, 逎古遒字, 音字由反.
사고가 말하기를 逎(주)는 옛 遒(주)라는 글자인데 음은 쥬(字由反)라 하였다.
[3] 師古曰, 言易水又至范陽入淶也. 濡音乃官反.
사고가 말하기를 역수(易水)가 또한 범양(范陽)에 이르러 래수(淶水)로 들어간다고 말하여진다고 했다. 濡(유)의 음은 놘(乃官反)이다.
[4] 應劭曰在范水之陽.
응초가 말하기를 범수(范水)의 북쪽이라 하였다.
[5] 師古曰蠡音禮.
사고가 말하기를 蠡(려)의 음은 례(禮)라 하였다.
[6] 應劭曰音莫.
응초가 말하기를 음은 막(莫)이라 하였다.
[7] 應劭曰在高河之陽.
응초가 말하기를 고하(高河)의 북쪽이라 하였다.
[8] 宋祁曰作有杖.
송기(宋祁)가 말하기를 祑(질)은 杖(장)으로도 쓴다고 했다.
[9] 應劭曰在饒河之陽.
응초가 말하기를 요하(饒河)[각주:2]
의 북쪽이라 하였다.
[10] 應劭曰在易滱二水之間, 故曰中水.
응초가 말하기를 역수(易水)와 구수(滱水)의 사이에 있으므로 중수(中水)라 한다고 하였다.
[11] 應劭曰垣水出良鄉東入桃.
응초가 말하기를 원수(垣水)가 량향현(良鄉縣)을 나와서 동쪽으로 도수(桃水)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② 발해군(勃海郡)
勃海郡, 高帝置. 莽曰迎河. 屬幽州.[1] 戸二十五萬六千三百七十七, 口九十萬五千一百一十九. 縣二十六. 浮陽, 莽曰浮城. 陽信, 東光, 有胡蘇亭. 阜城, 莽曰吾城.[2] 千童,[3] 重合, 南皮, 莽曰迎河亭.[4] 定, 侯國. 章武, 有鹽官. 莽曰桓章. 中邑, 莽曰檢隂. 高成, 都尉治也. 高樂, 莽曰為鄉. 參戸, 侯國. 成平, 虖池河, 民曰徒駭河. 莽曰澤亭. 桞, 侯國. 臨樂, 侯國. 莽曰樂亭. 東平舒,[5] 重平, 安次, 脩市, 侯國. 莽曰居寧.[6] 文安, 景成, 侯國. 束州, 建成, 章鄉, 侯國. 蒲領, 侯國.
발해군(勃海郡), 고제(高帝)가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迎河)라고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25,6377이고 인구수는 90,5119이다. 현은 26개이다.
1) 부양현(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부성(浮城)이라 하였다.
2) 양신현(陽信縣),
3) 동광현(東光縣), 호소정(胡蘇亭)이 있다.
4) 부성현(阜城縣), 왕망이 말하기를 오성(吾城)이라 했다.[2]
5) 천동현(千童縣),[3]
6) 중합현(重合縣),
7) 남피현(南皮縣),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정(迎河亭)이라고 했다.[4]
8) 정현(定縣), 후국(侯國)이다.
9) 장무현(章武縣), 염관(鹽官)이 있다. 왕망이 말하기를 환장(桓章)이라 했다.
10) 중읍현(中邑縣), 왕망이 말하기를 검음(檢隂)이라 했다.
11) 고성현(高成縣), 도위(都尉)가 다스린다.
12) 고락현(高樂縣), 왕망이 말하기를 향(鄉)이 되었다고 했다.
13) 참호현(參戸縣), 후국(侯國)이다.
14) 성평현(成平縣), 호지하(虖池河)가 있다. 백성들은 도해하(徒駭河)라고 한다. 왕망이 말하기를 택정(澤亭)이라 했다.
15) 석현(桞縣), 후국(侯國)이다.
16) 임락현(臨樂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락정(樂亭)이라 했다.
17) 동평서현(東平舒縣),[5]
18) 중평현(重平縣),
19) 안차현(安次縣),
20) 수시현(脩市縣), 후국(侯國)이다. 왕망이 말하기를 거녕(居寧)이라 했다.[6]
21) 문안현(文安縣),
22) 경성현(景成縣), 후국(侯國)이다.
23) 속주현(束州縣),
24) 건성현(建成縣),
25) 장향현(章鄉縣), 후국(侯國)이다.
26) 포령현(蒲領縣), 후국(侯國)이다.
[1] 師古曰在勃海之濱因以為名. 사고가 말하기를 발해의 바닷가에 있다고 했고 이 때문에 이름지어진 것이라 했다.
[2] 宋祁曰阜城南本作阜成 송기(宋祁)가 말하기를 부성(阜城)의 남쪽인데 원래 부성(阜成)이라고 말했다.
[3] 應劭曰靈帝改曰饒安. 宋祁曰千當作平. 응초가 말하기를 령제(靈帝)가 고쳐서 요안(饒安)로 불렀다고 했다. 송기(宋祁)가 말하기를 千(천)은 당연히 平(평)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4] 師古曰闞駰云章武有北皮亭故此云南. 사고가 함인(闞駰)이 말한 것을 인용하며 말하기를 장무현(章武縣)에 북피정(北皮亭)이 있으므로 이곳을 남(南)이라 이름한 것이라 했다.
[5] 師古曰代郡有平舒故此加東. 사고가 말하기를 대군(代郡)에 평서현(平舒縣)이 있으므로 이곳의 현 이름에 동(東)을 더한 것이라고 했다.
[6] 應劭曰音條 응초가 말하기를 脩의 음은 조(條)라고 했다.
③ 대군(代郡)
代郡, 秦置. 莽曰厭狄. 有五原關, 常山關. 屬幽州.[1] 户五萬六千七百七十一, 口二十七萬八千七百五十四. 縣十八. 桑乾, 莽曰安徳.[2] 道人, 莽曰道仁.[3] 當城,[4] 高栁, 西部都尉治. 馬城, 東部都尉治. 班氏, 秦地圖書班氏. 莽曰班副. 延陵, 狋氏, 莽曰狋聚.[5] 且如, 于延水出塞外, 東至寕入沽. 中部都尉治.[6] 平邑, 莽曰平胡. 陽原, 東安陽, 莽曰竟安.[7] 參合, 平舒, 祁夷水北至桑乾入沽. 莽曰平葆. 代, 莽曰厭狄亭.[8] 靈丘, 滱河東至文安入大河, 過郡五, 行九百四十里. 并州川[9] 廣昌, 淶水東南至容城入河, 過郡三, 行五百里, 并州䆮. 莽曰廣屏.[10] 鹵城. 虖池河東至參合入虖池别, 過郡九, 行千三百四十里, 并州川. 從河東至文安入海, 過郡六, 行千三百七十里. 莽曰魯盾.[11]
대군(代郡), 진국(秦國)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염적(厭狄)이라 하였다. 오원관(五原關)과 상산관(常山關)이 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5,6771이고 인구수는 27,8754명이다. 속한 현은 18개이다.
1) 상건현(桑乾縣), 왕망이 말하기를 안덕(安徳)이라 했다.[2]
2) 도인현(道人縣), 왕망이 말하기를 도인(道仁)이라 했다.[3]
3) 당성현(當城縣),[4]
4) 고류현(高栁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5) 마성현(馬城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6) 반씨현(班氏縣), 진지도서(秦地圖書)에서 반씨(班氏)라 했고 왕망은 반부(班副)라고 했다.
7) 연릉현(延陵縣),
8) 의씨현(狋氏縣), 왕망이 말하기를 의취(狋聚)라 했다.[5]
9) 차여현(且如縣), 우연수(于延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서 동쪽으로 흘러 (상곡군) 녕현(寕縣)에 이르러 고수(沽水)[각주:3]로 들어간다. 중부도위(中部都尉)가 다스린다.[6]
10) 평읍현(平邑縣), 왕망이 말하기를 평호(平胡)라 했다.
11) 양원현(陽原縣),
12) 동안양현(東安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경안(竟安)이라 했다.[7]
13) 참합현(參合縣),
14) 평서현(平舒縣), 기이수(祁夷水)가 북쪽으로 흘러 상건현(桑乾縣)에 이르러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왕망이 말하기를 평보라 했다.
15) 대현(代縣), 왕망이 말하기를 염적정(厭狄亭)이라 했다.[8]
16) 령구현(靈丘縣), 구하(滱河)가 동쪽으로 흘러 발해군 문안현(文安縣)에 이르러 대하(大河)로 들어가는데 5개의 군(郡)을 지나며 940리를 흐른다. 병주천(并州川)이다.[9]
17) 광창현(廣昌縣), 래수(淶水)가 동남쪽으로 흘러 용성(容城)에 이르러 하수(河水)로 들어가는데 3개의 군을 지나며 500리를 간다. 병주(并州)에 물을 댄다. 왕망이 말하기를 광병(廣屏)이라 했다.[10]
18) 로성현(鹵城縣). 호지하(虖池河)가 동쪽으로 흘러 참합현(參合縣)에 이르러 호지(虖池)로 들어가는데 나뉘어 흘러서 9개의 군을 지나며 1340리를 간다. 병주천(并州川)이다. 하수(河水)로부터 동쪽으로 흘러 발해군 문안현(文安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6개의 군을 지나며 1370리를 간다. 왕망이 말하기를 로순(魯盾)이라 했다.[11]
[1] 應劭曰故代國. 응초가 말하기를 옛 대국(代國)이라 하였다.
[2] 孟康曰乾音干 맹강(孟康)이 말하기를 乾의 음은 간(干)이라 했다.
[3] 師古曰夲有仙人逰其地因以為名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도유선인(夲有仙人)이 그 땅에서 놀았으므로 그렇게 이름한 것이다.
[4] 師古曰闞駰云當桓都城故曰當城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함인(闞駰)이 말하는데 당환(當桓)의 도성(都城)이므로 당성(當城)이라 한 것이라고 했다.
[5] 孟康曰狋音權氏音精 맹강(孟康)이 말하기를 狋(의)의 음은 권(權)이고 氏(씨)의 음은 정(精)이라고 했다.
[6] 師古曰且音子如反沽音姑又音故.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且(차)의 음은 져(子如反)이고 沽의 음은 고(姑)이며 또한 고(故)라고 했다.
[7] 師古曰闞駰云五原有安陽故此加東也.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함인(闞駰)이 말하는데 오원(五原)에는 안양(安陽)이 있으므로 그래서 이곳을 동안양현이라고 한 것이라고 했다.
[8] 應劭曰故代國.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옛 대국(代國)이라 했다.
[9] 應劭曰武靈王葬此因氏焉臣瓚曰靈邱之號在趙武靈王之前也師古曰瓚説是也滱音寇又音苦侯反其下並同.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무령왕(武靈王)을 이곳에 장사지냈으므로 因氏焉. 신찬(臣瓚)이 말하기를 령구(靈邱)라고 불린 것은 조(趙) 무령왕(武靈王) 전에 이야기라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신찬의 말이 옳다고 했다. 滱(구)의 음은 구(寇)이고 또한 구(苦侯反)이다. 그 아래는 아울러 같다(?).
[10] 師古曰淶音來.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淶의 음은 래(來)라고 했다.
[11] 師古曰虖音呼池音徒河反.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호(虖)의 음은 호(呼)이고 지(池)의 음은 다(徒河反)이다.
④ 상곡군(上谷郡)
上谷郡, 秦置, 莽曰朔調, 屬幽州. 戸三萬六千八, 口十一萬七千七百六十二. 縣十五. 沮陽, 莽曰沮陰.[1] 泉上, 莽曰塞泉. 潘, 莽曰樹武.[2] 軍都, 溫餘水東至路南入沽. 居, 庸有關. 雊瞀,[3] 夷輿, 莽曰朔調亭. 寧, 西部都尉治莽曰博康. 昌平, 莽曰長昌. 廣寧, 莽曰廣康. 涿鹿, 莽曰抪陸.[4] 且居, 樂陽水出東南入海. 莽曰久居. 茹, 莽曰榖武. 女祁, 東部都尉治. 莽曰祁. 下落, 莽曰下忠.
상곡군(上谷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朔調)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3,6008이고 인구수는 11,7862명이다. 속한 현은 15개이다.
1) 저양현(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저음(沮陰)이라 했다.[1]
2) 천상현(泉上縣), 왕망이 말하기를 새천(塞泉)이라 했다.
3) 반현(潘縣), 왕망이 말하기를 수무(樹武)라 했다.[2]
4) 군도현(軍都縣), 온여수(溫餘水)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路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5) 거용현(居庸縣), 관(關)이 있다.
6) 구무현(雊瞀縣),[3]
7) 이여현(夷輿縣),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정(朔調亭)이라 했다.
8) 녕현(寧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이 말하기를 박강(博康)이라 했다.
9) 창평현(昌平縣), 망(莽)이 말하기를 장창(長昌)이라 했다.
10) 광녕현(廣寧縣), 망(莽)이 말하기를 광강(廣康)이라 했다.
11) 탁록현(涿鹿縣), 망(莽)이 말하기를 포륙(抪陸)이라 했다.[4]
12) 차거현(且居縣), 락양수(樂陽水)가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각주:4]. 망(莽)은 구거(久居)라 했다.
13) 여현(茹縣), 망(莽)은 곡무(榖武)라고 했다.
14) 녀기현(女祁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기(祁)라 했다.
15) 하락현(下落縣), 망(莽)은 하충(下忠)이라고 했다.
[1] 孟康曰音俎. 맹강(孟康)은 沮(저)의 음이 조(俎)라고 했다.[각주:5]
[2] 師古曰音普半反. 師古(사고)는 潘의 음이 반(普半反)이라 했다.
[3] 孟康曰音句無師古曰雊音工豆反瞀音莫豆反. 孟康(맹강)은 말하기를 雊의 음이 구(句無反)이라고 했다. 사고(師古)는 雊의 음은 구(工豆反)이이고 瞀의 음은 무(莫豆反)라고 했다.
[4] 應劭曰黄帝與蚩尤戰于涿鹿之野. 응초(應劭)는 말하기를 황제(黄帝)가 치우(蚩尤)와 탁록(涿鹿)의 들판에서 싸웠다고 했다.
⑤ 어양군(漁陽郡)
漁陽郡, 秦置. 莽曰通路. 屬幽州. 戸六萬八千八百二, 口二十六萬四千一百一十六. 縣十二. 漁陽, 沽水出塞外, 東南至泉州, 入海. 行七百五十里. 有鐵官. 莽曰得漁. 狐奴, 莽曰舉符. 路, 莽曰通路亭. 雍奴, 泉州, 有鹽官. 莽曰泉調. 平谷, 安樂, 厗奚, 莽曰敦徳.[1] 獷平, 莽曰平獷.[2] 要陽, 都尉治. 莽曰要術.[3] 白檀, 洫水出北蠻夷.[4] 滑鹽, 莽曰匡徳.[5]
어양군(漁陽郡), 진(秦)이 설치하였다. 왕망은 통로(通路)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8802이고 인구수는 26,4116명이다. 속한 현은 12이다.
1) 어양현(漁陽縣), 고수(沽水)가 새(塞) 밖으로부터 출발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어양군 천주현(泉州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750리를 흐른다. 철관(鐵官)이 있다. 왕망은 득어(得漁)라고 했다.
2) 호노현(狐奴縣), 망(莽)은 거부(舉符)라 했다.
3) 로현(路縣), 망(莽)은 통로정(通路亭)이라 했다.
4) 옹노현(雍奴縣),
5) 천주현(泉州縣), 염관(鹽官)이 있다. 망(莽)은 천조(泉調)라고 했다.
6) 평곡현(平谷縣),
7) 안락현(安樂縣),
8) 제해현(厗奚縣), 망(莽)은 돈덕(敦徳)이라 했다.[1]
9) 광평현(獷平縣), 망(莽)은 평광(平獷)이라 했다.[2]
10) 요양현(要陽縣), 도위(都尉)가 다스린다. 망(莽)은 요술(要術)이라 했다.[3]
11) 백단현(白檀縣), 혁수(洫水)가 북쪽 만이(蠻夷)에서 나온다.[4]
12) 활염현(滑鹽縣), 망(莽)은 광덕(匡徳)이라 했다.[5]
[1] 孟康曰厗音題字或作蹄. 맹강(孟康)이 말하기를 제(厗)의 음은 제(題)이고 혹 제(蹄)로도 쓴다고 했다.
[2] 服䖍曰獷音鞏師古曰音九永反又音鑛. 복건(服䖍)은 獷의 음이 공(鞏)이라고 했다. 사고(師古)는 경(九永反)인데 음은 광(鑛)이라 했다.
[3] 師古曰音一妙反. 사고(師古)는 음이 요(一妙反)라고 했다.
[4] 師古曰洫音呼鵙反. 사고(師古)는 洫의 음은 혁(呼鵙反)이라고 했다.
[5] 應劭曰明帝更名鹽. 응초(應劭)는 명제(明帝)가 이름을 염(鹽)으로 바꾸었다고 했다.
⑥ 우북평군(右北平郡)
右北平郡, 秦置. 莽曰北順. 屬幽州. 戸六萬六千六百八十九, 口三十二萬七百八十. 縣十六. 平剛, 無終, 故無終子國. 浭水西至雍奴入海, 過郡二, 行六百五十里.[1] 石成, 廷陵, 莽曰鋪武. 俊靡, 灅水南至無終東入庚. 莽曰俊麻.[2] 薋, 都尉治. 莽曰襃睦.[3] 徐無, 莽曰北順亭. 字, 榆水出東. 土垠,[4] 白狼, 莽曰伏狄.[5] 夕陽, 有鐵官. 莽曰夕陰. 昌城, 莽曰淑武. 驪成, 大揭石山在縣西南. 莽曰揭石.[6] 廣成, 莽曰平虜. 聚陽, 莽曰篤睦. 平明, 莽曰平陽.
우북평군(右北平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은 북순(北順)이라 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6689이고 인구수는 32,0780명이다. 속한 현은 16개이다.
1) 평강현(平剛縣),
2) 무종현(無終縣), 옛 무종자국(無終子國)이다. 경수(浭水)가 서쪽으로 흘러 어양군 옹노현(雍奴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2개의 군을 지나며 650리를 흐른다.[1]
3) 석성현(石成縣),
4) 정릉현(廷陵縣), 망(莽)은 포무(鋪武)라 했다.
5) 준미현(俊靡縣), 류수(灅水)가 남쪽으로 흘러 우북평군 무종현(無終縣)에 이르러 동쪽으로 흘러 경수(庚水)로 들어간다. 망(莽)은 준마(俊麻)라 했다.[2]
6) 자현(薋縣), 도위(都尉)가 다스린다. 망(莽)은 포목(襃睦)이라 했다.[3]
7) 서무현(徐無縣), 망(莽)은 북순정(北順亭)이라 했다.
8) 자현(字縣), 유수(榆水)가 나와 동쪽으로 흐른다.
9) 토은현(土垠縣),[4]
10) 백랑현(白狼縣), 망(莽)은 복적(伏狄)[각주:6] 이라 했다.[5]
11) 석양현(夕陽縣), 철관(鐵官)이 있다. 망(莽)은 석음(夕陰)이라 했다.
12) 창성현(昌城縣), 망(莽)이 말하기를 숙무(淑武)라 했다.
13) 려성현(驪成縣), 대게석산(大揭石山)이 려성현의 서남쪽에 있다. 왕망은 게석(揭石)으로 고쳤다.[6]
14) 광성현(廣成縣), 망(莽)은 평로(平虜)라 하였다.
15) 취양현(聚陽縣), 망(莽)은 독목(篤睦)이라 했다.
16) 평명현(平明縣), 망(莽)은 평양(平陽)이라 했다.
[1] 師古曰浭音庚即下所云入庚者同一水也.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浭의 음은 경(庚)인데 즉 아래 있는 경수(庚水)와 같은 강이다.
[2] 師古曰灅音力水反又音郎賄反. 宋祁曰灅當作㶟.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灅의 음은 루(力水反)이고 또한 뢰(郎賄反)이다. 송기(宋祁)는 灅는 당연히 루(㶟)로 써야한다고 했다.
[3] 師古曰音才私反.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薋의 음은 자(才私反)라고 했다.
[4] 師古曰垠音銀.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은(垠)의 음은 은(銀)이라 했다.
[5] 師古曰有白狼山故以名縣.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백랑산(白狼山)이 있으므로 현의 이름을 얻은 것이라고 했다.
[6] 師古曰揭音桀.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揭의 음은 걸(桀)이라고 했다.
⑦ 요서군(遼西郡)
遼西郡, 秦置. 有小水四十八, 并行三千四十六里. 屬幽州. 戸七萬二千六百五十四,口三十五萬二千三百二十五. 縣十四. 且慮, 有高廟. 莽曰鉏慮.[1] 海陽, 龍鮮水東入封大水. 封大水 緩虚水 皆南入海. 有鹽官. 新安平, 夷水東入塞外. 栁城, 馬首山在西南. 參栁水北入海. 西部都尉治. 令支, 有孤竹城. 莽曰令氏亭.[2] 肥如, 玄水東入濡水. 濡水南入海陽. 又有盧水南入玄. 莽曰肥而.[3] 賔從, 莽曰勉武. 交黎, 渝水首受塞外, 南入海. 東部都尉治. 莽曰禽虜.[4] 陽樂, 狐蘇, 唐就水至徒河入海. 徒河, 莽曰河福. 文成, 莽曰言虜. 臨渝, 渝水首受白狼, 東入塞外. 又有侯水, 北入渝. 莽曰馮徳.[5] 絫, 下官水南入海. 又有揭石水 賔水 皆南入官. 莽曰選武.[6]
요서군(遼西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작은 강들이 48개이고 모두 합쳐 3416리를 흘러간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7,2654이고 인구수는 35,2325명이다. 현은 14개이다.
1) 차려현(且慮縣), 고묘(高廟)가 있다. 왕망은 서려(鉏慮)라고 하였다.[1]
2) 해양현(海陽縣), 룡선수(龍鮮水)가 동쪽으로 봉대수(封大水)로 들어간다. 봉대수(封大水)와 완허수(緩虚水)는 모두 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염관(鹽官)이 있다.
3) 신안평(新安平), 이수(夷水)가 동쪽으로 새(塞) 밖으로 들어간다.
4) 유성현(柳城縣), 마수산(馬首山)이 현의 서남쪽에 있다. 참류수(參栁水)가 북쪽으로 海로 들어간다[각주:7].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5) 영지현(令支縣), 고죽성(孤竹城)이 있다. 망(莽)은 령씨정(令氏亭)이라고 하였다.[2]
6) 비여현(肥如縣), 현수(玄水)가 동쪽으로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유수(濡水)는 남쪽으로 해양현(海陽縣)으로 들어간다. 또한 로수(盧水)가 있어 남쪽으로 현수(玄水)로 들어간다. 왕망은 비이(肥而)라고 하였다.[3]
7) 빈종현(賔從縣), 망(莽)은 면무(勉武)라고 하였다.
8) 교려현(交黎縣), 유수(渝水)가 상류에서 새(塞) 밖에서 만나서 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금로(禽虜)라고 하였다.[4]
9) 양락현(陽樂縣),
10) 호소현(狐蘇縣), 당취수(唐就水)가 도하현(徒河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11) 도하현(徒河縣), 망(莽)은 하복(河福)이라 하였다.
12) 문성현(文成縣), 망(莽)은 언로(言虜)라 하였다.
13) 임유현(臨渝縣), 유수(渝水)가 상류에서 백랑수(白狼水)를 받고 동쪽으로 새(塞) 밖으로 들어간다. 또한 후수(侯水)가 있는데 북쪽으로 유수(渝水)로 들어간다. 왕망은 풍덕(馮徳)이라 했다.[5]
14) 류현(絫縣), 하관수(下官水)는 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한 게석수(揭石水)와 빈수(賔水)가 있는데 모두 남쪽으로 하관수(官)로 들어간다. 망(莽)은 선무(選武)라 했다.[6]
[1] 師古曰且音子余反慮音廬.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且의 음은 져(子余反)라 했고 慮의 음은 려(廬)라고 했다.
[2] 應劭曰故伯夷國今有孤竹城令音鈴孟康曰支音秪師古曰令又音郎定反.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옛 백이국(伯夷國)인데 지금 고죽성(孤竹城)이 있으며 令의 음은 령(鈴)이라 했다. 맹강(孟康)이 말하기를 支의 음은 지(秪)라고 했다. 사고(師古)는 말하기를 令은 또한 음이 렁(郎定反)이라 했다.
[3] 應劭曰肥子奔燕燕封於此也師古曰濡音乃官反○宋祁曰入玄當作入畜.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비자(肥子)가 연(燕)으로 달아나니 연(燕)이 이곳에 봉하였다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濡의 음은 놘(乃官反)이라 했다. 송기(宋祁)는 말하기를 入玄은 당연히 入畜으로 써야한다고 했다.
[4] 應劭曰今昌黎師古曰渝音喻其下並同. 應劭(응초)가 말하기를 지금 昌黎(창려)라고 했다.師古(사고)는 말하기를 渝의 음은 유(喻)라고 했다. 그 아래는 모두 같다.
[5] 師古曰馮讀曰憑. 師古(사고)가 말하기를 馮은 憑(빙)으로 읽어야 한다고 했다.
[6] 師古曰絫音力追反. 師古(사고)가 말하기를 絫의 음은 루(力追反)라고 했다.
⑧ 요동군(遼東郡)
遼東郡, 秦置. 屬幽州. 戸五萬五千九百七十二. 口二十七萬二千五百三十九.縣十八. 襄平, 有牧師官. 莽曰昌平. 新昌, 無慮, 西部都尉治.[1] 望平, 大遼水出塞外, 南至安市, 入海, 行千二百五十里. 莽曰長說.[2] 房, 候城, 中部都尉治. 遼隊, 莽曰順睦.[3] 遼陽, 大梁水西南至遼陽, 入遼. 莽曰遼隂. 險瀆,[4] 居就, 室偽山, 室偽水所出, 北至襄平, 入梁也. 高顯, 安市, 武次, 東部都尉治. 莽曰桓次. 平郭, 有鐵官鹽官. 西安平, 莽曰北安平. 文, 莽曰文亭. 番汗, 沛水出塞外, 西南入海.[5] 沓氏,[6]
요동군(遼東郡), 진(秦)에서 설치하였고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5,5972이고 인구수는 27,2539명이다. 현은 18개이다.
1) 양평현(襄平縣), 목사관(牧師官)이 있다. 왕망은 창평(昌平)이라 했다.
2) 신창현(新昌縣),
3) 무려현(無慮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1]
4) 망평현(望平縣), 대요수(大遼水)가 새(塞) 밖을 나와서 남쪽으로 안시현(安市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1250리를 흐른다. 왕망은 장설(長說)이라고 했다.[2]
5) 방현(房縣),
6) 후성현(候城縣), 중부도위(中部都尉)가 다스린다.
7) 요대현(遼隊縣), 망(莽)은 순목(順睦)이라 했다.[3]
8) 요양현(遼陽縣), 대량수(大梁水)가 서남쪽으로 요양현(遼陽縣)에 이르러 요수(遼水)로 들어간다. 왕망은 요음(遼隂)이라 했다.
9) 험독현(險瀆縣),[4]
10) 거취현(居就縣), 실위산(室偽山)은 실위수(室偽水)가 나오는 곳인데, (실위수는) 북쪽으로 양평현에 이르러 량수(梁水)로 들어간다.
11) 고현현(高顯縣),
12) 안시현(安市縣),
13) 무차현(武次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환차(桓次)라고 했다.
14) 평곽현(平郭縣), 철관(鐵官)과 염관(鹽官)이 있다.
15) 서안평현(西安平縣)[각주:8] , 망(莽)은 북안평(北安平)이라고 했다.
16) 문현(文縣), 망(莽)은 문정(文亭)이라고 했다.
17) 번한현(番汗縣), 패수(沛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5]
18) 답씨현(沓氏縣). [6]
[1] 應劭曰慮音閭師古曰即所謂醫巫閭.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慮의 음은 려(閭)라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즉 이른바 의무려(醫巫閭)라고 했다.
[2] 師古曰説讀曰悦.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説은 열(悦)로 읽는다고 했다.
[3] 師古曰隊音遂.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隊의 음은 수(遂)라고 했다.
[4] 應劭曰, 朝鮮王滿都也, 依水險, 故曰險瀆. 臣瓉曰, 王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 此自是險瀆也. 師古曰, 瓚説是也. 浿音普大反.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조선(朝鮮)의 왕(王) 위만이 도읍인데 강물의 험한 것을 의지하였기에 험독(險瀆)이라 한 것이라고 했다. 신찬(臣瓉)이 말하기를 왕험성(王險城)은 낙랑군 패수(浿水)의 동쪽에 있는데 험독현(此)은 자연적으로(自) 올바른(是) 험독이라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신찬의 말이 옳다고 했다. 浿의 음은 배(普大反)이다.
[5] 應劭曰汗水出塞外西南入海番音盤師古曰沛音普盖反汗音寒.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한수(汗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番의 음은 반(盤)이라고 하였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沛의 음은 배(普盖反)이고 汗의 음은 한(寒)이라고 하였다.
[6] 應劭曰沓水也音長答反師古曰凡言氏者皆謂因之而立名.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답수현(沓水縣)이라고 했다. (沓의) 음은 잡(長答反)이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무릇 氏라는 말이라는 것은 대개 물(之)로 인하여 이름을 얻을 때 붙여지는 것이다. [각주:9]
⑨ 현도군(玄菟郡)
玄菟郡, 武帝元封四年開. 髙句驪, 莽曰下句驪. 属幽州.[1] 戸四萬五千六, 口二十二萬一千八百四十五, 縣三. 髙句驪, 遼山, 遼水所出, 西南至遼隊, 入大遼水. 又有南蘇水, 西北經塞外.[2] 上殷台, 莽曰下殷.[3] 西蓋馬, 馬訾水西北入鹽難水, 西南至西安平, 入海, 過郡二, 行一千一百里. 莽曰玄菟亭.
현도군(玄菟郡), 무제(武帝) 원봉(元封) 4년에 열었다.[각주:10] 고구려현(髙句驪縣)[각주:11] 은 왕망이 하구려(下句驪)로 고쳤으며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4,5006이고 인구수는 22,1815명이다. 현은 3개이다.
1) 고구려현(髙句驪玄), 요산(遼山)에서 요수(遼水)가 나오는데 서남쪽으로 요동군 요대현(遼隊縣)에 이르러 대요수(大遼水)로 들어간다. 또한 남소수(南蘇水)가 있는데 서북쪽으로 새(塞) 밖을 지난다.[2]
2) 상은태현(上殷台縣), 망(莽)은 하은(下殷)이라 했다.[3]
3) 서개마현(西蓋馬縣), 마자수(馬訾水)가 서북쪽으로 염난수(鹽難水)로 들어가는데, 서남쪽으로 요동군 서안평현(西安平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이 강은) 2개의 군(郡)을 지나고 1100리[각주:12]를 흐른다. 왕망은 현도정(玄菟亭)이라고 했다.
[1] 應劭曰故真番朝鮮胡國.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옛 진번조선(真番朝鮮) 호(胡)의 나라이다.
[2] 應劭曰故句驪胡.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옛 구려(句驪) 호(胡)이다.
[3] 如淳曰台音鮐師古曰音胎. 여순(如淳)이 말하기를 台의 음은 태(鮐)이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음은 태(胎)라고 했다.
⑩ 낙랑군(樂浪郡)
樂浪郡, 武帝元封三年開. 莽曰樂鮮. 屬幽州.[1] 戸六萬二千八百一十二, 口四十萬六千七百四十八. 有雲鄣. 縣二十五. 朝鮮,[2] 䛁邯,[3] 浿水, 水西至増地, 入海. 莽曰樂鮮亭.[4] 含資, 帶水西至帶方, 入海. 黏蟬,[5] 遂成, 增地, 莽曰增土. 帶方, 駟望, 海㝠, 莽曰海桓. 列口, 長岑, 屯有, 昭明, 南部都尉治. 鏤方, 提奚, 渾彌,[6] 吞列, 分黎山, 列水所出, 西至黏蟬, 入海, 行八百二十里. 東暆,[7] 不而, 東部都尉治. 蠶台,[8] 華麗, 邪頭昧,[9] 前莫, 夫租.
낙랑군(樂浪郡), 무제(武帝) 원봉(元封) 3년에 열었다. 왕망은 낙선(樂鮮)이라 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6,2812이고 인구수는 40,6748명이다. 운장(雲鄣)이 있다. 현은 25개이다.
1) 조선현(朝鮮縣),[2]
2) 염감현(䛁邯縣),[3]
3) 패수현(浿水縣), 패수(水)가 서쪽으로 증지현(増地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왕망은 락선정(樂鮮亭)이라고 했다.[4]
4) 함자현(含資縣), 대수(帶水)가 서쪽으로 대방현(帶方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5) 점선현(黏蟬縣),[5]
6) 수성현(遂成縣),
7) 증지현(增地縣), 망(莽)은 증토(增土)라 했다.
8) 대방현(帶方縣),
9) 사망현(駟望縣),
10) 해명현(海㝠縣), 망(莽)은 해환(海桓)이라 했다.
11) 렬구현(列口縣),
12) 장잠현(長岑縣),
13) 둔유현(屯有縣),
14) 소명현(昭明縣), 남부도위(南部都尉)가 다스린다.
15) 루방현(鏤方縣),
16) 제해현(提奚縣),
17) 혼미현(渾彌縣),[6]
18) 탄렬현(吞列縣), 분려산(分黎山)이 있는데 렬수(列水)가 이곳에서 나와서 서쪽으로 점선현(黏蟬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며 820리를 흐른다.
19) 동이현(東暆縣),[7]
20) 부이현(不而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21) 잠태현(蠶台縣),[8]
22) 화려현(華麗縣),
23) 사두매현(邪頭昧縣),[9]
24) 전막현(前莫縣),
25) 부조현(夫租縣).
[1] 應劭曰故朝鮮國也師古曰樂音洛浪音狼. 응초(應劭)는 옛 조선국이라고 했다 사고(師古)는 樂의 음이 락(洛)이고 浪의 음은 랑(狼)이라 했다.
[2] 應劭曰武王封箕子於朝鮮.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무왕(武王)이 기자(箕子)를 조선(朝鮮)에 봉했다고 했다.
[3] 孟康曰䛁音男師古曰䛁音乃甘反邯音酣. 맹강(孟康)이 말하기를 䛁의 음은 남(男)이라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䛁의 음은 남(乃甘反)이고 邯의 음은 감(酣)이라고 했다.
[4] 師古曰浿音普大反.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浿의 음은 배(普大反)라고 했다.
[5] 服䖍曰蟬音提. 복건(服䖍)이 말하기를 蟬의 음은 제(提)라고 했다.
[6] 師古曰渾音下昆反.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渾의 음은 혼(下昆反)이라 했다.
[7] 應劭曰音移. 응초(應劭)는 暆의 음이 이(移)라고 했다.
[8] 師古曰台音胎 사고(師古)는 台의 음이 태(胎)라고 했다.
[9] 孟康曰昧音妹 맹강(孟康)은 昧의 음이 매(妹)라고 했다.
2. 후국(侯國)
① 광양국(廣陽國)
廣陽國, 髙帝燕國. 昭帝元鳳元年為廣陽郡. 宣帝本始元年更為國. 莽曰廣有. 戸二萬七百四十, 口七萬六百五十八. 縣四. 薊, 故燕國. 召公所封. 莽曰伐戎. 方城, 廣陽, 陰鄉, 莽曰陰順.
광양국(廣陽國), 고제(髙帝)때에 연국(燕國)이다. 소제(昭帝) 원봉(元鳳) 원년에 광양군(廣陽郡)이 되었다. 선제(宣帝) 본시(本始) 원년(元年)에 고쳐 후국(侯國)으로 하였다. 왕망은 광유(廣有)라고 하였다. 가구수는 2,0740이고 인구수는 7,0658명이다. 현은 4개이다.
1) 계현(薊縣), 옛 연국(燕國)이다. 소공(召公)을 봉한 곳이다. 왕망은 벌융(伐戎)이라 하였다.
2) 방성현(方城縣),
3) 광양현(廣陽縣),
4) 음향현(陰鄉縣), 왕망은 음순(陰順)이라 했다.
3. 병주(并州)
① 안문군(鴈門郡)
鴈門郡, 秦置. 句注山在隂館. 莽曰填狄. 属并州. 戸七萬三千一百三十八. 口二十九萬三千四百五十四. 縣十四. 善無, 莽曰陰館. 沃陽, 鹽澤在東北, 有長丞. 西部都尉治. 莽曰敬陽. 繁畤, 莽曰當要.[1] 中陵, 莽曰遮害. 陰館, 樓煩鄉. 景帝後三年置. 累頭山, 治水所出, 東至泉州, 入海, 過郡六, 行千一百里. 莽曰富代.[2] 樓煩, 有鹽官.[3] 武州, 莽曰桓州. ▩陶,[4] 劇陽, 莽曰善陽. 崞, 莽曰崞張.[5] 平城, 東部都尉治. 莽曰平順. 埒, 莽曰填狄亭. 馬邑, 莽曰章昭.[6] 彊陰, 諸聞澤在東北, 莽曰伏隂.
안문군(鴈門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구주산(句注山)이 음관(隂館)에 있다. 왕망은 전적(填狄)이라 했다. 병주(并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7,3138이고 인구수는 29,3454명이다. 현은 14개이다.
1) 선무현(善無縣), 망(莽)은 음관(陰館)이라 했다.
2) 옥양현(沃陽縣), 염택(鹽澤)이 동북쪽에 있고 장승(長丞)이 있다.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경양(敬陽)이라 했다.
3) 번치현(繁畤縣), 망(莽)은 당요(當要)라 했다.[1]
4) 중릉현(中陵縣), 망(莽)은 차해(遮害)라 했다.
5) 음관현(陰館縣), 루번향(樓煩鄉)이다. 경제(景帝)가 후원(後元) 3년에 설치했다. 루두산(累頭山)에서 치수(治水)가 나오는데 동쪽으로 흘러 천주(泉州)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며 6개의 군을 지나고 1100리를 흐른다. 왕망은 부대(富代)라 했다.[2]
6) 루번현(樓煩縣), 염관(鹽官)이 있다.[3]
7) 무주현(武州縣), 망(莽)은 환주(桓州)라 했다.
8) ▩도현(▩陶縣),[4]
9) 극양현(劇陽縣), 망(莽)은 선양(善陽)이라 했다.
10) 곽현(崞縣), 망(莽)은 곽장(崞張)이라 했다.[5]
11) 평성현(平城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망(莽)은 평순(平順)이라 했다.
12) 랄현(埒縣), 망(莽)은 전적정(填狄亭)이라 했다.
13) 마읍현(馬邑縣), 망(莽)은 장소(章昭)라 했다.[6]
14) 강음현(彊陰縣), 제문택(諸聞澤)이 동북쪽에 있다. 왕망은 복음(伏隂)이라 했다.
[1] 師古曰畤音止. 사고(師古)는 畤의 음이 지(止)라고 했다.
[2] 師古曰累音力追反. 治音弋之反. 燕刺王傳作台字. 사고(師古)는 累의 음이 루(力追反)이고 治의 음은 이(弋之反)라고 했다. 연자왕전(燕刺王傳)에서는 이(台) [각주:13]로 썼다.
[3] 應劭曰故樓煩胡地.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옛 루번(樓煩) 호(胡)라고 했다.
[4] 孟康曰音注. 宋祁曰▩. 景夲作汪音枉. 맹강(孟康)은 ▩의 음이 주(注)라고 했다. 송기(宋祁)는 ▩라고 했다. 경도(景夲)에서는 汪로 썼는데 음은 왕(枉)이다.
[5] 孟康曰音郭. 맹강(孟康)은 말하기를 崞의 음은 곽(郭)이라고 했다.

[6]師古曰..晉太康地記云, 秦時建此城輒崩不成, 有馬周旋馳走反覆, 父老異之, 因依以築城, 遂名為馬邑. 사고(師古)가 진태강지기(晉太康地記)를 인용하며 말하기를 진(秦) 때에 이 성을 세우고 번번이 무너져 이루지 못하였는데 말이 있어 성의 주위를 반복하여 달렸었다. 어른들이 그것을 기이하게 여겨서 이를 의지하여 성을 쌓았으므로 마읍(馬邑)이라고 한 것이라고 하였다.

 

 

 

 

 

 

  1. 이름은 유방(劉邦)이고 집권기간은 BC 206~BC 195이다. [본문으로]
  2. 요순시대의 대요수(大遼水)는 이곳인가? [본문으로]
  3. 고수(沽水)를 현재의 백하(白河)라고 하지만 이 기록에서 고수는 백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적어도 고수는 대군 상건현을 지나는 강물과 합류하여야 하는데 현재의 백하와는 거리가 매우 멀다. 고수는 현재의 동양하(東洋河)가 아닌가 의심된다. [본문으로]
  4. 수경주에는 고수(沽水)로 들어간다고 했다. [본문으로]
  5. 이곳이 조양이다 [본문으로]
  6. 이는 부여적(扶餘狄)이라는 말이다. 백랑산을 몽골말로 포호도(布祜圖)라고 하였는데 사슴을 만주말로 포호(布呼)라고 하니 백랑산이라는 것은 즉 사슴산을 뜻하는 것이다. 부여는 록산(鹿山)에 도읍하였기에 부여라 한 것인데 이는 부여가 사슴이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白狼을 伏狄이라 한 것이다. [본문으로]
  7. 北入海라고 되어 있는데 북쪽으로부터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면 말이 되지만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면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북쪽으로부터 바다로 들어간다”고 해석하지 못하는 이유는 해양현의 주석에 南入海라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北入海을 북쪽으로부터 바다로 들어간다고 해석해야 한다면 南入海는 남쪽으로부터 바다로 들어간다고 해석해야 하는데 남쪽으로도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지리적 특성을 갖는 곳은 요서군에 위치하지 않는다.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갈 수 있는 지리적 특성을 갖는 지역은 현재 요동반도와 산동산도인데 이 두 곳은 요서군 지역이 될 수가 없다. 海를 “바다”가 아닌 다른 호수로 비정해야 할 것 같다.
    [본문으로]
  8. 매국사학도(賣國史學徒)들은 낙랑군을 평양지역으로 비정하기 위하여 요동군 서안평현을 압록강 하구에 비정한다. 이들은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기에 이런 비정을 하는 것이다. 요동군 서안평현은 거란(契丹)이 일어난 곳인데 어찌 압록강 하구에 있겠는가? [본문으로]
  9. 한서 上黨郡의 현으로 열씨현(涅氏縣)이 있는데 그 기록을 보자. “涅氏, 涅水也. 師古曰, 涅水出焉, 故以名縣也. 涅音乃結反.” 즉 열씨현(涅氏縣)은 열수현(涅水縣)이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열수(涅水)가 나오는데 그러므로 현의 이름을 지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즉, 현 이름의 氏라는 것은 그 곳에 지나는 물 이름과 현 이름이 같을 때 水를 氏로 바꾼다는 말이다. [본문으로]
  10. 한(漢)이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현도군을 BC108년에 최초로 설치하였다가 1년 만에 이맥(夷貊)에게 쫓기에 구려(句驪, 즉 고리국(藁離國)이다.) 서북쪽으로 옮겨졌기 때문에(後爲夷貊所侵, 徙郡於高句驪西北, 후한서) BC107년에 열었다고 한 것이다. 즉, 현도군의 위치는 위만조선의 땅이 아니라 쫓기어 간 땅이므로 요동군 동쪽에 위치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도군 고구려현의 주석의 요수(遼水)는 서남쪽으로 흘러 요동군의 대요수(大遼水)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본문으로]
  11. 추모성왕이 세운 고구려가 아니라 옛 고리국(藁離國)이다. [본문으로]
  12. 2100리라고도 기록한 책도 있다. [본문으로]
  13. 강희자전에 與之切라 하였으므로 이것을 따랐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