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지리지

신당서(新唐書) 지리지 하북도(河北道) 전문 번역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23.

유주범양군(幽州范陽郡)

유주범양군 대도독부(大都督府)는 원래 탁군(涿郡)인데 천보(天寳) 원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토산품으로 조공을 바치는 품목으로는 비단綾과 목화綿와 비단絹과 각궁(角弓)과 인삼(人葠)과 밤栗이다. 가구수는 6,7242이고 인구수는 30,1312명이다. 현은 9개이다. 14개의 부가 있는데 려평부(吕平府) 탁성부(涿城府) 덕문부(德聞府) 로성부(潞城府) 락상부(樂上府) 청화부(清化府) 홍원부(洪源府) 량향부(良鄉府) 개복부(開福府) 정화부(政和府) 정참부(停驂府) 자하부(柘河府) 량두부(良杜府) 함녕부(咸寧府) 등이 있다. 성(城) 안에는 경략군(經畧軍)이 있고 또한 약강군(約降軍)이 있는데 본래 납강수착성(納降守捉城)으로서 옛날의 정령천(丁零川)이다. 서남쪽에는 안새군(安塞軍)이 있고 혁련성(赫連城)이 있다. 종왕(宗王)과 건간(乾澗)과 진구(殄寇) 등의 삼진성(三鎮城)이 있고 석퇴(石堆)와 차방(車坊)과 호성(蒿城)과 하방(河旁) 등의 四戍(사수)가 있다.
①    계현(薊縣). 망(望). 천보(天寳) 원년에 광녕현(廣寧縣)을 쪼개어 설치하였다. 3년되는 해에 없앴다. 철(鐵)이 있다. 옛 수국(隋國)의 림삭궁(臨朔宫)이 있다.
②    유도현(幽都縣). 망(望). 본래 계현(薊縣)의 땅이다. 수국(隋國)에서는 영주(營州)의 지경의 옛 여라성(汝羅城)에 요서군(遼西郡)을 설치하고 항복한 속말말갈(粟末靺鞨) 사람들이 살게 하였다. 무덕(武德) 원년에 연주(燕州)라 하였고 3개의 현을 다스리는데 요서군(遼西郡)과 로하군(瀘河郡)과 회원군(懷逺郡)이다. 토산물 조공품으로는 표범 꼬리가 있다. 이해에 로하현(瀘河縣)을 없앴다. 6년에 영주(營州)로부터 유주(幽州)의 성(城) 가운데로 옮겼으며, 우두머리(首)로 세습하여 자사(刺史)가 되도록 하였다. 정관(貞觀) 원년에 회원현(懷逺縣)을 없앴다. 개원(開元) 25년에는 유주(幽州) 북쪽에 도곡산(桃谷山)으로 옮겨 다스렸다. 천보(天寳) 원년에는 귀덕군(歸德郡)이라고 하였다. 가구수는 2045이고 인구수는 1603명이다. 건중(建中) 2년에 주함(朱淊)에게 소멸당하였으므로 폐하여 현으로 하였다. 
③    광평현(廣平縣). 상(上). 천보(天寳) 원년에 계현(薊縣)을 쪼개어 설치하였다가 3년후에 없앴다. 지덕(至德) 후에 다시 설치하였다.
④    로현(潞縣). 상(上). 무덕(武德) 2년에 무종(無終)으로부터 어양군(漁陽郡)을 이곳에 옮겨서 현주(玄州)를 설치하여 로현(潞)과 어양현(漁陽)을 설치하고 아울러 림구현(臨泃縣)을 설치하였다. 정관(貞觀) 원년에 현주를 폐하고 림구현(臨泃)과 무종현(無終)을 없앴으며 로현(潞)과  어양현(漁陽)으로 내속하게 하였다.
⑤    무청현(武清縣). 上. 본래 옹노현(雍奴縣)이다. 천보(天寳) 원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⑥    영청현(永清縣). 緊. 본래 무륭현(武隆)이다. 여의(如意) 원년에 안차현(安次)을 쪼개어 설치하였다. 경운(景雲) 원년에 회창(㑹昌)이라고 하였고 천보(天寳) 원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⑦    안차현(安次縣). 上.
⑧    양향현(良鄉縣). 望. 성력(聖歴) 원년에 고절(固節)이라고 하였다. 신룡(神龍) 원년에 다시 옛 이름으로 바꾸었다. 대방산(大防山)이 있다.
⑨    창평현(昌平縣). 望. 북쪽 15리에 군도형(軍都陘)이 있다. 서북쪽 35리에 납관관(納款闗)이 있는데 즉 옛 거용관(居庸闗)이며 또한 군도관(軍都闗)이라고도 한다. 그 북족으로는 방어군(防禦軍)이 있고 옛날 하양천(夏陽川)이다. 랑산(狼山)이 있다.
幽州范陽郡大都督府. 本涿郡, 天寳元年 更名. 土貢..綾 綿 絹 角弓 人葠 栗. 户六萬七千二百四十二, 口三十七萬一千三百一十二. 縣九. 有府十四, 曰.., 吕平 涿城 德聞 潞城 樂上 清化 洪源 良鄉 開福 政和 停驂 柘河 良杜 咸寧. 城内有 經畧軍, 又有 約降軍, 本 納降守捉城, 故 丁零川 也. 西南有 安塞軍, 有赫連城. 有 宗王 乾澗 殄寇 三鎮城, 石堆 車坊 蒿城 河旁 四戍.
薊. 望. 天寳元年 析置 廣寧縣, 三載 省. 有鐵. 有故隋臨朔宫. 幽都. 望. 本薊縣地. 隋於 營州之境 汝羅故城 置 遼西郡, 以處粟末靺鞨降人. 武德元年曰燕州, 領縣三.., 遼西 瀘河 懷逺. 土貢.., 豹尾. 是年, 省瀘河. 六年, 自營州遷于幽州城中, 以首領世襲刺史. 貞觀元年, 省 懷逺. 開元二十五年, 徙治 幽州北 桃谷山. 天寳元年曰歸德郡. 户二千四十五, 口萬一千六百三. 建中二年為朱淊所滅, 因廢為縣. 廣平. 上. 天寳元年析薊置, 三載省, 至德後復置. 潞. 上. 武德二年, 自無終徙漁陽郡於此, 置玄州, 領 潞 漁陽, 并置臨泃縣. 貞觀元年, 州廢, 省 臨泃 無終, 以 潞 漁陽 來屬. 武清. 上. 本雍奴, 天寳元年更名. 永清. 緊. 本武隆, 如意元年, 析安次置, 景雲元年, 曰㑹昌, 天寳元年更名. 安次. 上. 良鄉. 望. 聖歴元年, 曰固節. 神龍元年復故名, 有大防山. 昌平. 望. 北十五里有軍都陘. 西北三十五里有納款闗, 即居庸故闗, 亦謂之軍都闗, 其北有防禦軍, 古夏陽川也. 有狼山.

탁주(涿州)

탁주(涿州). 상(上). 대력(大歴) 4년에 절도사 주희채(朱希彩)가 표를 올려 유주(幽州)의 범양(范陽) 귀의(歸義) 고안(固安)을 쪼개어 설치하였고 5개의 현이 있다.
①    범양현(范陽縣). 望. 본래 탁현(涿)으로 무덕(武德) 7년에 바꾸었다. 
②    귀의현(歸義縣). 上. 무덕(武德) 5년에 설치하여 정관(貞觀) 원년에 없앴고 8년에 다시 설치하였다. 경운(景雲) 2년에 정주(鄭州)에 속하게 하였고 이 해에 돌아와 유주(幽州)에 소속시켰다.
③    고안현(固安縣). 上.
④    신창현(新昌縣). 上. 대력(大歴) 4년에 고안현(固安)을 쪼개어 설치하였다.
⑤    신성현(新城縣). 上. 태화(太和) 6년에 옛 독항(督亢) 땅에 설치하였다
涿州. 上. 大歴四年, 節度使朱希彩 表 析 幽州之 范陽 歸義 固安 置. 縣五.
范陽. 望. 本涿, 武德七年更名. 歸義. 上. 武德五年置, 貞觀元年省, 八年復置. 景雲二年隷鄭州. 是年還隷幽州. 固安. 上. 新昌. 上. 大歴四年析固安置. 新城. 上. 太和六年以故督亢地置.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 下. 처음에 림유(臨渝)에서 다스리다가 무덕(武德) 원년에 노룡(盧龍)으로 옮겨 다스렸다. 토공(土貢)으로는 곰가죽과 순비기나무열매(蔓荆實)와 인삼(人葠)이 있다. 가구수는 3113이고 인구수는 2,5086명이다. 현은 3개이다. 부(府)가 하나인데 노룡(盧龍)이라고 한다. 노룡군(盧龍軍)이 있는데 천보(天寳) 1년에 설치하였다. 또한 유성군(柳城軍)이 있는데 영태(永泰) 원년에 설치하였다. 온구(温溝)와 백망(白望)과 서협석(西狹石)과 동협석(東狹石)과 록주(緑疇)와 미부(米磗)와 장양(長楊)과 황화(黄花)와 자몽(紫蒙)과 백랑(白狼)과 창려(昌黎)과 요서(遼西) 등의 12 수(戍)가 있다. 애천(愛川)과 주기(周夔) 등의 2개의 진성(鎮城)이 있다. 동북쪽에는 명질관(明垤闗)과 골호성(鶻湖城)과 우모성(牛毛城)이 있다.
①    노룡현(盧龍縣). 中. 본래 비여현(肥如)인데 무덕(武德) 2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또한 무녕현(撫寧縣)을 설치했었는데 7년에 없앴다.
②    석성현(石城縣). 中. 본래 림유현(臨渝)인데 무덕(武德) 7년에 없앴다. 정관(貞觀) 15년에 다시 설치하였다가 만세통천(萬嵗通天) 2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림유관(臨渝闗)이 있는데 또한 림려관(臨閭闗)이라고도 한다. 대해관(大海闗)이 있다. 갈석산(碣石山)이 있다. 온창진(温昌鎮)이 있다.
③    마성현(馬城縣). 中. 옛 해양성(海陽城)이다. 개원(開元) 28년에 설치하여 물로 운반하는 것을 통하게 하였다. 동북쪽에는 천김야성(千金冶城)이 있고 동쪽에는 무향진성(茂鄉鎮城)이 있다.
平州 北平郡. 下. 初治臨渝, 武德元年徙治盧龍. 土貢.., 熊鞹, 蔓荆實, 人葠. 户三千一百一十三, 口二萬五千八十六. 縣三. 有府一, 曰盧龍. 有盧龍軍, 天寳一載置. 又有柳城軍, 永泰元年置. 有 温溝 白望 西狹石 東狹石 緑疇 米磗 長楊 黄花 紫蒙 白狼 昌黎 遼西 等十二戍, 愛川 周夔 二鎮城. 東北有 明垤闗 鶻湖城 牛毛城. 盧龍. 中. 本肥如. 武德二年更名, 又置撫寧縣, 七年省. 石城. 中本臨渝, 武德七年省, 貞觀十五年復置. 萬嵗通天二年更名. 有臨渝闗, 一名 臨閭闗. 有大海闗. 有碣石山. 有温昌鎮. 馬城. 中. 古海陽城也, 開元二十八年置, 以通水運. 東北有千金冶城. 東有茂鄉鎮城.

규주(媯州) 규천군(媯川郡)

규주(媯州) 규천군(媯川郡). 상(上). 원래 북연주(北燕州)이고 무덕(武德) 7년에 고개도(髙開道)를 평정하여 유주(幽州)의 회융군(懷戎)으로 설치하였다. 정관(貞觀) 8년에 이름을 바꿨다. 토산물 조공품으로는 자작나무껍데기(樺皮)와 호록(胡禄)  갑유(甲榆)와 고시(髇矢) ,  와 사향(麝香)가 있다. 가구수는 2263이고 인구수는 1,1584명이다. 현은 1개이다. 2개의 부가 있는데 밀운(密雲)과 백단(白檀)이다.  청이군(清夷軍)이 있어 수공(垂拱) 연간에 설치하였다. 퇴북(堆北)과 백양도(白陽度)과 운치(雲治)과 광변(廣邉) 등 4개의 진병(鎮兵)이 있다. 횡하(横河)와 시성(柴城) 등 2개의 수(戍)가 있다. 양문성(陽門城)이 있다. 영정(永定)과 요자(窯子) 등 2개의 관(闗)이 있다. 또한 회유군(懷柔軍)이 있는데 규주(媯州)와 울주(蔚州)의 지경에 있다.
① 회융현(懷戎縣). 上. 천보(天寳) 년간에 규천현(媯川縣)을 쪼개서 설치하였다가 곧 없앴다. 규수(媯水)가 가운데를 지나간다. 북쪽 90리에 장성이 있는데 개원(開元) 년간에 장설(張說)이 쌓은 것이다. 동남쪽 50리에 거용새(居庸塞)가 있고 동쪽으로 연이어 노룡(盧龍)과 갈석(碣石)이 있고 서쪽으로는 태행산(太行)과 상산(常山)이 잇닿아 있는데 실로 천하의 험한 곳이다. 철문관(鐵門闗)이 있다. 서쪽으로 녕무군(寧武軍)이 있다. 또한 북쪽으로 광변군(廣邉軍)이 있는데 옛날 백운성(白雲城)이다.
媯州媯川郡. 上. 本北燕州, 武德七年 平 髙開道, 以幽州之懷戎置. 貞觀八年更名. 土貢.., 樺皮 胡禄 甲榆 髇 矢 麝香. 户二千二百六十三, 口萬一千五百八十四, 縣一. 有府二, 曰密雲 白檀. 有清夷軍, 垂拱中置. 有 堆北 白陽度 雲治 廣邉 四鎮兵. 有 横河 柴城 二戍. 有 陽門城. 有 永定 窯子 二闗. 又有 懷柔軍, 在 媯 蔚 二州之境.
懷戎. 上. 天寳中析置媯川縣, 尋省. 媯水貫中. 北九十里有長城, 開元中張說築. 東南五十里有居庸塞, 東連 盧龍 碣石, 西屬 太行 常山, 實天下之險. 有鐵門闗. 西有寧武軍. 又北有 廣邉軍, 故白雲城也.

단주(檀州) 밀운군(密雲郡)

단주(檀州) 밀운군(密雲郡). 원래 안락군(安樂郡)이고 천보(天寳) 원년에 이름일 바꾸었다. 토산조공품으로는 인삼(人葠)과 사향(麝香)이 있다. 가구수는 6064이고 인구수는 3,0216명이다.  위무군(威武軍)이 있는데 만세통천 원년에 설치하였고 본래 어양(漁陽)으로 개원(開元) 19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또한 진원군(鎮逺軍)이 있는데 옛날 흑성천(黒城川)이다. 또한 삼차성(三叉城)과 횡산성(横山城)과 미성(米城)이 있다. 대왕(大王)과 북래(北來)과 보요(保要)와 록고(鹿故)와 적성(赤城)과 요로(邀虜)와 석자강(石子䴚) 등의 7개 진(鎮)이 있다. 림하(臨河)와 황애(黄崖)의 2개의 수(戍)가 있다.
①    밀운현(密雲縣). 中. 외산(隗山)이 있다.
②    연락현(燕樂縣). 中. 동북쪽 185리에 동군(東軍)과 북구(北口) 등 2개의 수착(守捉)이 있는데 북구(北口)란 곧 장성의 입구이다. 또한 북쪽 800리에 토호진하(吐護真河)가 있는데 해왕(奚王)의 아장(衙帳) 이 있다.
檀州密雲郡. 本安樂郡, 天寳元年更名. 土貢.., 人葠 麝香. 户六千六十四, 口三萬二百四十六, 縣二. 有 威武軍, 萬嵗通天元年置, 本漁陽, 開元十九年更名. 又有鎮逺軍, 故黒城川也. 有三叉城 横山城 米城. 有大王 北來 保要 鹿故 赤城 邀虜 石子䴚 七鎮. 有 臨河 黄崖 二戍. 密雲. 中. 有隗山. 燕樂. 中. 東北百八十五里有 東軍 北口 二守捉. 北口長城口也. 又北八百里有吐護真河, 奚王衙帳也.

계주(薊州) 어양군(漁陽郡)

계주(薊州) 어양군(漁陽郡). 下. 개원(開元) 18년에 유주(幽州)를 쪼개어 설치하였다. 토산물 조공품으로는 흰 아교가 있다. 가구수는 5317이고 인구수는 1,8521명이다. 현은 3개이다. 부(府)가 2개 있는데 어양(漁陽)과 림거(臨渠)이다. 남쪽으로 200리에 정새군(静塞軍)이 있는데 원래 장새군(障塞軍)이고 개원(開元) 19년에 이름을 바꿨다. 또한 웅무군(雄武軍)이 있는데 옛날의 광한천(廣漢川)이다. 동북쪽 90리에 홍수수착(洪水守捉)이 있고 또한 동북쪽 30리에 염성수착(鹽城守捉)이 있고 또한 동북쪽으로 란하(灤河)를 건너면 옛날 노룡진(盧龍鎮)이 있고 또한 두형진(斗陘鎮)이 있다. 옛날의 노룡(盧龍)으로부터 북쪽으로 구형령(九荆嶺)과 수미성(受米城)과 장홍애(張洪隘)을 지나 석령(石嶺)을 넘으면 해왕(奚王)의 장(帳)에 이르는데까지 600리이다. 또한 동북쪽으로 토호진하(吐護真河)를 옆으로 하여 500리를 가면 해(奚)와 거란(契丹)의 아장(衙帳)에 이른다. 또한 북쪽으로 100리를 가면 실위(室韋)의 장(帳)에 이른다.
①    어양현(漁陽縣). 中. 신룡(神龍) 원년에 영주(營州)에 예속시켰다가, 개원(開元) 4년에 돌아와 유주(幽州)에 예속시켰다. 평로거(平虜渠)가 있는데 바다를 옆에 두고 바다로 배가 통할 수 있도록 뚫었으며 바다로 어려울 때 피할 수 있다. 또한 그 북쪽으로 넘쳐난 물이 구(溝)가 되었는데 거란(契丹)을 막는다. 대개 신룡(神龍) 년간에 창주자사(滄州刺史) 강사도(姜師度)가 열은 것이다.
②    삼하현(三河縣). 中. 개원(開元) 4년에 로현(潞)을 쪼개서 설치하였다. 북쪽 12리에 거하당(渠河塘)이 있고 서북쪽 60리에 고산피(孤山陂)가 있는데 논(溉田)이 3000 경(頃)이다.
③    옥전현(玉田縣). 中. 원래 무종현(無終)이다. 무덕(武德) 2년에 설치하였고 정관(貞觀) 원년에 없앴다가 건봉(乾封) 2년에 다시 설치하였고 만세통천(萬嵗通天) 원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신룡(神龍) 원년에 영주(營州)에 예속시켰다가 개원(開元) 4년에 다시 돌아와 유주(幽州)에 예속시켰고 8년에 영주(營州)에 예속시켰으며 11년에는 다시 유주(幽州)에 예속시켰다. 호문(壕門)과 미정(米亭)과 삼곡(三谷)과 강석(礓石)과 방공(方公)과 백양(白楊) 등 7개의 수(戍)이 있다.
薊州漁陽郡. 下. 開元十八年析幽州置. 土貢.., 白膠. 户五千三百一十七, 口萬八千五百二十一, 縣三. 有府二, 曰 漁陽 臨渠. 南二百里有静塞軍, 本障塞軍, 開元十九年更名. 又有雄武軍, 故廣漢川也. 東北九十里有洪水守捉, 又東北三十里有鹽城守捉, 又東北渡灤河有古盧龍鎮, 又有斗陘鎮. 自古 盧龍 北經 九荆嶺 受米城 張洪隘 度 石嶺 至 奚王 帳 六百里. 又東北行傍 吐護真河 五百里 至 奚 契丹 衙帳. 又北百里至室韋帳. 漁陽. 中. 神龍元年隷營州, 開元四年還隷幽州. 有 平虜渠 傍海穿漕, 以避海難, 又其北漲水為溝, 以拒契丹. 皆神龍中, 滄州刺史 姜師度 開. 三河. 中. 開元四年析潞置. 北十二里有渠河塘. 西北六十里有孤山陂, 溉田三千頃. 玉田. 中. 本無終, 武德二年置, 貞觀元年省, 乾封二年復置, 萬嵗通天元年更名, 神龍元年隷營州, 開元四年還隷幽州, 八年隷營州, 十一年又隷幽州. 有 壕門 米亭 三谷 礓石 方公 白楊 等七戍.

영주(營州) 유성군(柳城郡)

영주(營州) 유성군(栁城郡). 상(上) 도독부(都督府). 원래 요서군(遼西郡)으로 만세통천(萬嵗通天)원년에 거란에게 함락당하자 성력(聖歴) 2년에 어양(漁陽)으로 옮겨 다스렸다가 개원(開元) 5년에는 다시 돌아와서 유성(栁城)에서 다스렸으며 천보(天寳) 원년에 이름을 바꿨다. 토산물 조공품으로는 인삼(人葠)과 사향(麝香)과 표범꼬리가죽과 골굴(骨窟 )이 있다. 가구수는 997이고 인구수는 3789명이다. 현은 1개이다. 평로군(平盧軍)이 있는데 개원(開元) 초기에 설치하였다. 동쪽에는 진안군(鎮安軍)이 있는데 본래 연군(燕郡)의 수착성(守捉城)이며 정원(貞元) 2년에 군성(軍城)으로 하였다. 서쪽 480리에는 유관(渝闗) 수착성(守捉城)이 있다. 또한 여라(汝羅)와 회원(懐逺)과 무려(巫閭)와 양평(襄平) 등의 4개의 수착성(守捉城)이 있다.
① 유성현(栁城縣). 中. 서북쪽으로 해(奚)와 접하며 북쪽으로 거란과 접한다. 동북쪽의 진(鎮)으로 의무려산사(醫巫閭山祠)가 있다. 또한 동쪽에 갈석산(碣石山) 이 있다.
營州栁城郡. 上都督府. 本遼西郡, 萬嵗通天元年為契丹所陷, 聖歴二年僑治漁陽, 開元五年又還治栁城, 天寳元年更名. 土貢.., 人葠 麝香 豹尾皮骨窟. 戸九百九十七, 口三千七百八十九, 縣一. 有平盧軍, 開元初置. 東有鎮安軍, 本燕郡守捉城, 貞元二年為軍城. 西四百八十里有渝闗守捉城. 又有 汝羅 懐逺 巫閭 襄平 四守捉城. 栁城. 中. 西北接奚, 北接契丹. 有東北鎮醫巫閭山祠. 又東有碣石山.

안동상도호부(安東上都護府)

안동상도호부(安東上都護府). 총장(總章) 원년에 리적(李勣)이 고구려를 평정하여 176개의 성을 얻어 그 땅을 나누어 도독부(都督府) 9개와 주(州) 42개와 현(縣) 100개로하여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평양성(平壤城)에 두고 이들을 다스렸다. 그들의 추거(酋渠)로 도독(都督)과 자사(刺史)와 현령(縣令)이 되게 하였다. 상원(上元) 3년에 요동군(遼東郡)의 옛 성으로 옮겼고 의봉(儀鳳) 2년에 신성(新城)으로 옮겼다. 성력(聖歴) 원년에 이름을 안동도독부(安東都督府)로 바꾸었으며 신룡(神龍) 원년에 다시 옛 이름으로 고쳤다. 개원(開元) 2년에 평주(平州)로 옮겼으며 천보(天寳) 2년에 또 요서군(遼西郡) 옛 성으로 옮겼다가 지덕(至徳) 후에 폐하였다. 토산물 조공품으로는 인삼이 있다. 안동수착(有安東守捉)이 있다. 회원군(懷逺軍)이 있는데, 천보(天寳) 2년에 설치하였다. 또한 보정군(保定軍)이 있다.
安東上都護府. 總章元年, 李勣平髙麗國, 得城百七十六, 分其地為都督府九, 州四十二, 縣一百, 置安東都護府於平壤城以統之, 用其酋渠為 都督 刺史 縣令. 上元三年, 徙遼東郡故城, 儀鳳二年又徙新城. 聖歴元年, 更名安東都督府, 神龍元年, 復故名. 開元二年, 徙于平州, 天寳二年, 又徙于遼西故郡城. 至徳後廢. 土貢.., 人葠. 有安東守捉. 有懷逺軍, 天寳二載置. 又有保定軍.

위는 하북채방사(河北採訪使)가 위주(魏州)에서 다스린다.
右河北採訪使, 治魏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