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잡동사니/지리지

후한서 군국지의 유주(幽州)의 탁군, 광양, 대군, 상곡, 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 낙랑, 현도 등 우리역사 관련지명 번역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21.
1. 유주(幽州)
① 탁군(涿郡)
涿郡, 髙帝置. 雒陽東北千八百里. 七城, 户十萬二千二百一十八, 口六十三萬三千七百五十四. 涿, 逎 侯國,[1] 故安 易水出, 雹水出.[1] 范陽 侯國. 良鄉. 北新城 有汾水門.[3] 方城 故屬廣陽, 有臨鄉,[4] 有督亭.[5]
탁군(涿郡), 고제(髙帝)가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1800리에 있다. 성(城)이 7개이고 가구수는 10,2218이며 인구수는 63,3754명이다.
1) 탁현(涿縣),
2) 주국(逎國). 후국(侯國)이다.[1]
3) 고안현(故安縣) 역수(易水)가 나오며 박수(雹水)가 나온다.[2]
4) 범양국(范陽國). 후국(侯國)이다.
5) 량향현(良鄉縣).
6) 북신성현(北新城縣). 분수문(汾水門)이 있다.[3]
7) 방성현(方城縣) 옛 광양국(廣陽國)에 속했는데 림향(臨鄉)이 있고,[4] 독정(督亭)이 있다.[5]
[1] 史記漢武帝至鳴澤, 服䖍曰在縣北界. 사기(史記)에서 말하기를 한(漢) 무제(武帝)가 명택(鳴澤)에 이르렀다고 했다. 복건(服䖍)이 말하기를 탁현(縣)의 북쪽 경계에 있다고 했다.
[2] 案本紀, 永元十五年復置縣鐵官. 안(案) 본기(本紀)에서 영원(永元) 15년에 고안현에 철관(鐵官)을 다시 설치했다고 했다.
[3] 史記曰趙與燕分門. 사기(史記)에서 말하기를 조(趙)가 연(燕)에게 분문(分門)을 주었다고 했다.
[4] 故縣, 後省. 惠文王與燕臨樂. 전한(前漢)의 탁군 림향현으로 후에 성(省)이 되었다. 조(趙) 혜문왕(惠文王) 이 연(燕)에게 림락(臨樂)을 주었다.
[5] 劉向 别錄 曰..督亢, 膏腴之地. 史記 荆軻奉督亢圖入秦. 류향(劉向)의 별록(别錄)에서 말하기를 독항(督亢)은 고유(膏腴)의 땅이라고 했다. 사기(史記)에서 말하기를 형가(荆軻)는 독항(督亢)의 지도를 가지고 진(秦)으로 들어갔다.
② 광양군(廣陽郡)
廣陽郡, 髙帝置, 為燕國, 昭帝更名為郡. 世祖省并上谷, 永平八年復. 五城, 户四萬四千五百五十, 口二十八萬六百. 薊 本燕國, 刺史治.[1] 廣陽. 昌平, 故屬上谷. 軍都, 故屬上谷. 安次, 故屬勃海.
광양군(廣陽郡), 고제(髙帝)가 설치하여 연국(燕國)이 되었는데, 소제(昭帝) 가 이름을 군(郡)으로 바꾸었다. 세조(世祖) 가 상곡군(上谷郡)에 병합했는데, 영평(永平) 8년에 다시 군(郡)으로 하였다. 성은 5개이고 가구수는 4,4550이며 인구수는 28,0600명이다.
1) 계현(薊縣). 원래 연국(燕國)이며 자사(刺史)가 다스린다.[1]
2) 광양현(廣陽縣).
3) 창평현(昌平縣), 전한(前漢)에서는 상곡군(上谷郡)에 속했다.
4) 군도현(軍都縣), 전한(前漢)에서는 상곡군에 속했다.
5) 안차현(安次縣), 전한(前漢)에서는 발해군(勃海郡)에 속했다.
[1] 漢官曰雒陽東北二千里. 한관(漢官)이 말하기를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2000리라 하였다.
③ 대군(代郡)
代郡, 秦置. 雒陽東北二千五百里.[1] 十一城, 户二萬一百二十三, 口十二萬六千一百八十八. 髙栁. 桑乾. 道人. 當城. 馬城. 班氏. 狋氏. 北平邑, 永元八年復. 東安陽. 平舒. 代.[2]
대군(代郡), 진(秦)이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2500리에 있다.[1] 성은 11개이고 가구수는 2,0123이며 인구수는 12,6188명이다.
1) 고류현(髙栁縣).
2) 상건현(桑乾縣).
3) 도인현(道人縣).
4) 당성현(當城縣).
5) 마성현(馬城縣).
6) 반씨현(班氏縣).
7) 의씨현(狋氏縣).
8) 북평읍현(北平邑縣) , 영원(永元) 8년에 다시 되돌렸다.
9) 동안양현(東安陽縣).
10) 평서현(平舒縣).
11) 대현(代縣).[2]
[1] 古今注曰建武二十七年七月屬幽州. 고금주(古今注)에서 말하기를 건무(建武) 27년 7월에 유주(幽州)에 속했다고 한다.
[2] 干寳 搜神記 曰..代城始築, 立板幹, 一旦亡西南板, 四五十里于澤中自立, 結葦為外門, 因就營築焉, 故其城周圓三十五丈, 為九門, 故城處呼之以為東城.
④ 상곡군(上谷郡)
上谷郡, 秦置. 雒陽東北三千二百里. 八城, 户萬三百五十二, 口五萬一千二百四. 沮陽. 潘, 永元十一年復. 甯. 廣甯. 居庸. 雊瞀. 涿鹿.[1] 下落.
상곡군(上谷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3200리에 있다. 성은 8개이고, 가구수는 1,0352이며, 인구수는 5,1204명이다.
1) 저양현(沮陽縣).
2) 반현(潘縣), 영원(永元) 11년에 되돌렸다.
3) 녕현(甯縣).
4) 광녕현(廣甯縣).
5) 거용현(居庸縣).
6) 구무현(雊瞀縣).
7) 탁록현(涿鹿縣).[1]
8) 하락현(下落縣).
[1] 帝王世紀曰..黄帝所都, 有蚩尤地 阪泉地 黄帝祠. 世本云..在鼓 城南, 張晏曰在上谷. 于瓉 案..禮五帝位云..黄帝與赤帝戰于阪泉之野, 不在涿鹿, 是伐蚩尤之地.
제왕세기(帝王世紀)에서 말하기를 황제(黄帝)가 도읍한 곳이며 치우(蚩尤)의 땅과 판천지(阪泉地)와 황제사(黄帝祠)가 있다고 했다. 세본(世本)에서 말하기를 (황제의 도읍은) 고성(鼓城) 남쪽에 있고 장안(張晏)이 말하기를 상곡(上谷)에 있다고 했다. 우찬(于瓉)이 안(案)하기를 례오제위(禮五帝位)에서 말하기를 황제(黄帝)가 적제(赤帝)와 판천(阪泉)의 야(野)에서 싸웠고 (황제의 도읍은) 탁록(涿鹿)에 있지 않으며, 탁록(是)은 치우(蚩尤)을 정벌한 땅이라고 했다.
⑤ 어양군(漁陽郡)
漁陽郡, 秦置. 雒陽東北二千里. 九城, 户六萬八千四百五十六, 口四十三萬五千七百四十. 漁陽, 有鐵. 狐奴. 潞. 雍奴. 泉州, 有鐵. 平谷. 安樂. 傂奚. 獷平.
어양군(漁陽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2000리 떨어져 있다. 성은 9개이고, 가구수는 6,8456이며, 인구수는 43,5740명이다.
1) 어양현(漁陽縣), 철(鐵)이 있다.
2) 호노현(狐奴縣).
3) 로현(潞縣).
4) 옹노현(雍奴縣).
5) 천주현(泉州縣), 철(鐵)이 있다.
6) 평곡현(平谷縣).
7) 안락현(安樂縣).
8) 치해현(傂奚縣).
9) 광평현(獷平縣).
⑥ 우북평군(右北平郡)
右北平郡, 秦置雒陽東北二千三百里. 四城, 户九千一百七十, 口五萬三千四百七十五. 土垠, 徐無, 俊靡, 無終.
우북평군(右北平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2300리 떨어져 있다. 성은 4개이고, 가구수는 9190이며, 인구수는 5,3475명이다.
1) 토은현(土垠縣),
2) 서무현(徐無縣),
3) 준미현(俊靡縣),
4) 무종현(無終縣).
⑦ 요서군(遼西郡)
遼西郡, 秦置雒陽東北三千三百里. 五城, 户萬四千一百五十, 口八萬一千七百一十四. 陽樂. 海陽. 令支, 有孤竹城.[1] 肥如. 臨渝.[2]
료서군(遼西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3300리 떨어져 있다. 성은 5개이고, 가구수는 1,4150이며, 인구수는 8,1714명이다.
1) 양락현(陽樂縣).
2) 해양현(海陽縣).
3) 영지현(令支縣), 고죽성(孤竹城)이 있다.[1]
4) 비여현(肥如縣).
5) 임유현(臨渝縣).[2]
[1] 伯夷叔齊本國.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본국이다.
[2] 山海經曰..碣石之山, 編 水出焉, 其上有玉, 其下有青碧. 水經曰..在縣南. 郭璞曰..或曰在右北平驪城縣海邊山也. 山海經(산해경)에서 말하기를 ‘碣石山(갈석산)이 있는데 編水(편수, 망수網水, 승수繩水)가 나오며, 갈석산 위에는 옥이 많고 갈석산 아래에는 푸른 碧(벽)이 많다’고 했다. 수경주에서 말하기를 ‘(갈석산은) 현(縣) 남쪽에 있다’고 하였다. 郭璞(곽박)은 말하기를 ‘혹 우북평군 驪城縣(려성현) 해변 산에 있다고 한다’고 했다.
⑧ 요동군(遼東郡)
遼東郡, 秦置雒陽東北三千六百里.[1] 十一城, 户六萬四千一百五十八, 口八萬一千七百一十四. 襄平. 新昌. 無慮. 望平. 候城. 安市. 平郭, 有鐵. 西安平.[2] 汶. 番汗. 沓氏.
료동군(遼東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3600리 떨어져 있다. [1] 성은 11개이고 가구수는 6,4158이며 인구수는 8,1714명이다.
1) 양평현(襄平縣).
2) 신창현(新昌縣).
3) 무려현(無慮縣).
4) 망평현(望平縣).
5) 후성현(候城縣).
6) 안시현(安市縣).
7) 평곽현(平郭縣), 철(鐵)이 있다.
8) 서안평현(西安平縣).[2]
9) 문현(汶縣).
10) 번한현(番汗縣).
11) 답씨현(沓氏縣).
[1] 案, 本紀和帝永元十六年, 郡復置. 西部都尉官. 안(案), 본기(本紀) 화제(和帝) 영원(永元) 16년에 군(郡)十六年을 다시 설치하였으며 서부도위(西部都尉)의 관청(官)이다.
[2] 魏氏春秋曰..縣北有小水, 南流入海. 句驪别種, 因名之小水貊. 위씨춘추(魏氏春秋)에서 말하기를 ‘서안평현 북쪽에 소수(小水)가 있는데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구려(句驪) 별종(别種)이 (있는데), 그것의 이름(즉 소수 小水)으로 인하여 소수맥(小水貊)이라 한다.
⑨ 현도군(玄菟郡)
玄莵郡, 武帝置. 雒陽東北四千里. 六城, 户一千五百九十四, 口四萬三千一百六十三. 髙句驪, 遼山遼水出.[1] 西蓋鳥. 上殷台. 髙顯, 故屬遼東. 候城, 故屬遼東. 遼陽, 故屬遼東.[2]
현토군(玄莵郡), 무제(武帝)가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4000리 떨어져 있다. 성은 6개이고 가구수는 1594이며 인구수는 4,3163명이다.
1) 고구려현(高句驪縣), 요산(遼山)에서 요수(遼水)가 나온다.[1]
2) 서개조현(西蓋鳥縣, 서개마현).
3) 상은태현(上殷台縣).
4) 고현현(高顯縣), 옛날에 요동군에 속했다.
5) 후성현(候城縣), 옛날에 요동군에 속했다.
6) 요양현(遼陽縣), 옛날에 요동군에 속했다.[2]
[1] 山海經曰..遼水出白平東. 郭璞曰..出塞外御白平山, 遼山小遼水所出. 산해경(山海經)에서 말하기를 료수(遼水)가 백평(白平)의 동쪽에서 나온다고 했다. 곽박(郭璞)은 말하기를 (료수는) 새(塞) 밖의 어백평산(御白平山)에서 나오며 료산(遼山)은 소료수(小遼水)가 나오는 곳이라고 했다..
[2] 東觀書..安帝即位之年, 分三縣來屬 동관서(東觀書)..안제(安帝) 가 즉위하는 해에 현을 3으로 나누어 내속(來屬)하였다고 했다
⑩ 낙랑군(樂浪郡)
樂浪郡, 武帝置. 雒陽東北五千里. 十八城, 户六萬一千四百九十二, 口二十五萬七千五十. 朝鮮. 염邯. 淇水. 貪資. 占蟬. 遂城. 増地. 帶方. 駟望. 海冥. 列口.[1] 長岑. 屯有. 昭明. 鏤方. 提奚. 渾彌. 樂都.
낙랑군(樂浪郡), 무제(武帝)가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5000리 떨어져 있다. 18개의 성이 있고 가구수는 6,1492이며 인구수는 25,7050명이다.
1) 조선현(朝鮮縣).
2) 염감현(邯縣).
3) 기수현(淇水縣, 패수현).
4) 탐자현(貪資縣) .
5) 점선현(占蟬縣).
6) 수성현(遂城縣).
7) 증지현(増地縣).
8) 대방현(帶方縣).
9) 사망현(駟望縣).
10) 해명현(海冥縣).
11) 렬구현(列口縣).[1]
12) 장잠현(長岑縣).
13) 둔유현(屯有縣).
14) 소명현(昭明縣).
15) 루방현(鏤方縣).
16) 제해현(提奚縣).
17) 혼미현(渾彌縣).
18) 락도현(樂都縣).
[1] 郭璞注山海經曰列水名列水在遼東 곽박(郭璞)이 주석한 산해경(山海經)이 말하기를 열(列)은 강이름인데 열수(列水)는 료동(遼東)에 있다고 했다.
⑪ 요동속국(遼東屬國)
遼東屬國, 故邯鄉, 西部都尉, 安帝時以為屬國都尉, 别領六城, 雒陽東北三千二百六十里. 昌遼, 故天遼, 屬遼西.[1] 賔徒, 故屬遼西. 徒河, 故屬遼西. 無慮, 有醫無慮山. 險瀆,[2] 房
료동속국(遼東屬國), 옛 감향(邯鄉)이며,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안제(安帝) 때에 속국(屬國)으로 도위(都尉)를 삼았으며 별도로 6개의 성을 다스린다.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3260리 떨어져 있다.
1) 창료현(昌遼, 교려, 창려), 옛 천료(天遼)이며 요서(遼西)에 속했다.[1]
2) 빈도현(賔徒, 빈종), 옛 요서(遼西)에 속했다.
3) 도하현(徒河), 옛 요서에 속했다.
4) 무려현(無慮), 의무려산(醫無慮山)이 있다.
5) 험독현(險瀆),[2]
6) 방현(房)
[1] 何法盛 晉書 有青城山. 하법성(何法盛)의 진서(晉書)에 청성산(青城山)이 있다고 했다.
[2] 사기(史記)에서 말하기를 왕험(王險)인데 위만(衞滿)이 도읍한 곳이라고 했다.
2. 병주(并州)
① 안문군(鴈門郡)
鴈門郡, 秦置, 雒陽北千五百里. 十四城, 户三萬一千八百六十二, 口二十四萬九千.陰館.[1] 繁畤. 樓煩. 武州.[2] 汪陶. 劇陽. 崞. 平城.[3] 埒. 馬邑.[4] 鹵城, 故屬代郡[5] 廣武, 故屬太原, 有夏屋山.[6] 原平, 故屬太原.[7] 彊陰.
안문군(鴈門郡), 진(秦)에서 설치하였고 락양(雒陽)에서 북쪽으로 1500리에 있다. 10개의 성이 있고 가구수는 3,1862이며 인구수는 24,9000이다.
1) 음관현(陰館縣).[1]
2) 번치현(繁畤縣).
3) 누번현(樓煩縣).
4) 무주현(武州縣).[2]
5) 왕도현(汪陶縣).
6) 극양현(劇陽縣).
7) 곽현(崞縣).
8) 평성현(平城縣).[3]
9) 날현(埒縣).
10) 마읍현(馬邑縣).[4]
11) 노성현(鹵城縣), 옛 대군(代郡)에 속했다.[5]
12) 광무현(廣武縣), 옛 태원(太原)에 속했다. 하옥산(夏屋山)이 있다.[6]
13) 원평현(原平縣), 옛 태원에 속했다.[7]
14) 강음현(彊陰縣)
[1] 史記曰..漢 蘇意 軍 句注, 應劭曰..山險名也, 在縣. 爾雅八陵西隃鴈門是也. 郭璞曰..即鴈門山. 山海經曰..鴈門山者, 鴈飛出於其間.
[2] 前書 武帝誘匈奴入武州塞
[3] 前書 髙帝被圍白登, 服䖍曰去縣七里.
[4] 干寳 搜神記曰..昔秦人築城于武州塞内以備胡, 城成而崩者數矣. 有馬馳走一地, 周旋反覆,父老異之, 因依以築城, 城乃不崩, 遂名之為馬邑.
[5] 山海經曰..泰戲之山, 無草木, 多金玉, 呼沱之水出焉. 郭璞曰..今呼沱河 縣武夫山. 周禮..并州, 其川呼沱. 魏志曰..建安十年, 鑿渠自呼沱入汾, 名平虜渠. 산해경(山海經)에서 말하기를 ‘태희산(泰戲山)이 있는데 초목이 없고 금과 옥이 많으며 호타수(呼沱水)가 나온다’고 했다. 곽박(郭璞)이 말하기를 ‘지금 호타하(呼沱河)는 현(縣)의 무부산(武夫山)에서 나온다’고 했다. 주례(周禮)에서 말하기를 병주(并州)의 그 하천이 호타수(呼沱水)라고 했다. 위지(魏志)에서 말하기를 건안(建安) 10년에 도랑을 뚤었는데 호타(呼沱水)에서 분수(汾水)로 들어갔는데 이름하기를 평로거(平虜渠)라고 했다’고 한다.
[6] 史記曰..趙襄子北登夏屋山, 以銅斗殺代王. 郭璞曰..爾雅山中有獸, 形如莵, 相負共行, 土俗名之蹷.
[7] 古史考曰..趙衰居原, 今原平縣.
3. 기주(冀州)
① 발해군
勃海郡, 髙帝置. 雒陽北千六百里. 八城, 户十三萬二千三百八十九. 口百一十萬六千五百. 南皮. 髙城, 侯國. 重合, 侯國. 浮陽, 侯國. 東光[1] 章武. 陽信, 延光元年復. 修, 故屬信都.
발해군(勃海郡), 고제(髙帝)가 설치하였다. 락양(雒陽)에서 북쪽으로 1600리 떨어져 있다. 8개의 성이 있고 가구수는 13,2389이며 인구수는 110,6500명이다.
1) 남피현(南皮縣).
2) 고성현(髙城縣), 후국(侯國)이다.
3) 중합현(重合縣), 후국(侯國)이다.
4) 부양현(浮陽縣), 후국(侯國)이다.
5) 동광현(東光縣)[1]
6) 장무현(章武縣).
7) 양신현(陽信縣), 연광(延光) 원년에 되돌렸다.
8) 수현(修縣), 옛 신도(信都)에 속한다.
[1] 有胡蘇亭. 胡蘇河之名見爾雅. 호소정(胡蘇亭)이 있다. 호소하(胡蘇河)의 이름이 이아(爾雅)에 보인다.